|
기획재정부는 7일 열린 2022년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재정혁신의 한 방안으로 교육교부금을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지방교육교부금은 광역 단위에서 지방교육자치를 실시하도록 중앙에서 시·도 교육청으로 이전되는 재원을 말한다. 당해 연도 내국세 총액의 20.79%와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전출금을 제외한 교육세로 조성된다.
이번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정부가 예고했던 교부금 제도 개편 방안이 구체화됐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교육 부문간 균형있는 투자를 위해 교부금 제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현재 고등교육 예산이 12조원으로 장학금 예산을 빼면 실제 대학 경쟁력 강화 관련 예산이 8조원 정도”라며 “이에 비춰 보면 3조6000억원이 결코 작은 규모가 아니고 일반회계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재정지원을 늘리는 것도 같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내국세에 연동되는 재원으로 유·초중등 교육에 활용되는 방식의 교부금 제도를 개편해야 한단 지적은 꾸준히 이어졌다. 세입 규모는 경제 규모에 확대에 따라 확대되고 교부금 재원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저출산 추세에 학령인구는 꾸준히 줄어드는 상황에 교부금은 유·초중등 교육에만 활용할 수 있도록 돼 있어서다.
만 6~17세의 학령인구는 2000년 811만명에서 2010년 735만명으로 줄었고 올해는 539만명까지 감소했다. 반면 교부금은 2013년 41조원 수준에서 올해 81조원 수준까지 늘어 1인당 교부금은 625만원에서 1528만원 수준까지 증가한다.
다만 내국세 연동 교부금 산정 방식 개편을 위해선 교육계의 반발을 넘어서야 한다. 교육계는 학령인구 감소해도 학교, 학급 수 등은 증가하고 교육 복지 강화를 강조하며 교부금 산정 개편에 신중해야 한단 입장이다.
정부는 우선 교육재정 간 칸막이를 허무는 것을 시작으로 내국세에 연동되는 교부금 산정 방식 개편 논의를 계속 이어간단 계획이다. 최 차관은 “특별회계를 통해서 교육교부금에 칸막이 구조의 물꼬를 트고, 내국세 20.79%에 대한 제도 개선도 같이 병행해서 계속 지속적으로 검토·협의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