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업계에 따르면 KT(KT, 위니텍, 아이티센, 한국전파기지국 등)는 재난망 구축 제1사업(평창)에, LG유플러스(디오텍, 다산네트웍스 등)는 제2사업(강릉·정선)에만 신청했다.
반면 SK텔레콤(엔텔스, 텔코웨어, 사이버텔브릿지 등)은 제1사업과 제2사업 모두 도전장을 던졌다. 제1사업은 운영센터가 포함돼 배정된 예산(337억9800만 원)이 큰 반면, 제2사업은 그렇지 않아 예산이 82억 1600만 원에 불과하다.
이 사업의 정보화전략계획(ISP)를 맡았던 LG CNS는 제1사업에선 KT와, 제2사업에선 LG유플러스와 하도급 업체로 손잡았다. 삼성전자는 특정 컨소시엄에 들어가지 않고 수주업체가 정해지면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다.
입찰 마감 이후 사업자 선정에 일주일의 시간이 걸리지만, 추석 연휴가 끼어 있어 재난망 시범사업자 선정은 10월 초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기술평가(90%)와 가격평가(10%)의 종합평가점수로 협상적격자를 선정해 협상적격자 중 종합평가 점수가 1위인 사업자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다.
왜 사업자마다 신청 사업이 다르고, LG CNS가 두 사업자와 제휴한 이유는 뭘까.
시범사업에 배정된 예산이 지나치게 쪼그라 들었지만 이보다 낮은 수준의 금액을 어제(24일) 적어낸 것은 ▲국제 표준화가 진행중인 공공LTE(PS-LTE)에 대한 테스트베드를 확보하고 ▲재난망 시범사업 결과 문제가 너무 많이 발견돼 구축 방식이나 운영 방식이 전면 수정될 경우 (투자된) 자산 인수 등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덧붙여 ▲통신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경쟁 회사들에 대한 견제 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는 “어제 투찰(가격을 적어내는 것)이, 오늘 입찰(제안서 제출)이 이뤄졌는데 3사 모두 배정된 예산의 80% 정도를 써낸 것으로 안다”면서 “가격점수를 올리려는 의도겠지만, 안그래도 적은 예산인데 이 때문에 재난망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
다만, 기업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옥외 커버리지 구축 초과 비용 등은 예산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정부가 직접 부족한 예산으로 전국에 통신망을 깔고 이를 공무원 조직으로 운영하려는 것은 결국 국민 혈세를 낭비하게 만들 것이라는 지적이 거세게 일면서, 정부는 재난망 사업의 내년 예산을 정식 예산이 아닌 ‘예비비’로 국회에 제출했다.
재난망에 잡힌 내년 예산(2776억9600만 원)이 예비비가 된 것은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계획이 전면 재검토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관련기사 ◀
☞ 재난망 예산 예비비로…“시범사업 결과따라 수정 가능”
☞ 시범사업은 선행사업?.. 재난망 내년 예산안 2776억 제출
☞ 김을동 최고위원 "안전처의 재난망 판단, 검증 필요"
☞ 재난망 논란에 LG CNS 대표 국감 증인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