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2조5000엔(23조6000억원)의 해양개발 관련시장을 새로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해양자원개발 프로젝트 진출이나 기술개발등을 위해 29억엔(32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가사키 조선소와 중견조선소가 밀집한 나가사키현을 ‘해양·환경산업 거점 특구’로 지정, 예산지원과 세제 혜택을 집중키로 했다.
세계 석유·가스업체들은 생산량의 30% 가량을 바다에서 캐내면서 해양 생산을 지속 늘려나가고 있다. 해양시장 연구조사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해양플랜트 공사량은 39%에 달한다. 이어 중국과 싱가포르가 각각 14%, 브라질이 9%를 차지했다. 반면 일본의 시장 점유율은 1%에 정도에 머물러 있다.
해양개발 사업은 맨 윗단의 광구개발회사와 종합 엔지니어링 회사가 기술을 주도한다. 이에 비해 일본은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 중 모덱이 FPSO(해상부유식 원유생산 저장하역설비) 부문에서 유일하게 성공했을 뿐이다. 일본 기업이 기획·투자하더라도 실제 공사는 한국, 싱가포르, 중국에 위탁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한국, 중국 등에 밀려 이대로 가면 전 세계 해양개발 분야에서 뒤쳐져 일본 기술로 배타적 경제수역 (EEZ)의 개발 등에 나설 수 없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다.
|
중국도 지난해 2월 해양플랜트 매출을 2015년까지 2000억 위안(24조), 2020년까지 4000억 위안(48조)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비전을 공표했다. 또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15년까지 20%, 2020년까지 35%로 확대하고, 주요시스템과 설비의 국산화율을 2015년 30%, 2020년까지 5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환발해지역, 양쯔강델타 지역, 주강 델타 지역 등을 3대 해양플랜트 제조업 집적지로 조정한다는 계획이다.
▶ 관련기사 ◀
☞현대重, 휴대용 용접 로봇 개발
☞IRS베어스팁, 동결베팅성 역외페이..플랫속 CD픽싱 리스크
☞현대重 "기술력으로 만리장성 넘었다 "..세계 최대 컨선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