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내후년인 2023년까지 민간소비 증가율이 장기평균 수준인 연간 2.4%를 웃도는 흐름을 나타내며 완만한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오미크론’ 코로나19 신종 변이 바이러스 등에 따른 방역정책 불확실성 확대, 물가상승에 따른 가계 구매력 저하 등의 하방 위험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축적된 가계 저축률 등을 고려하면 민간소비 증가가 이어진다는 판단이다.
한국은행은 9일 분기마다 발표하는 ‘2021년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2023년까지 연간 2.4%를 웃도는 민간소비 증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에 따르면 민간소비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지난해 1분기 4.8% 감소세로 돌아선 뒤 4분기 6.6% 감소까지 위축됐으나 올해 1분기 1.2% 증가 흐름으로 1년만에 반등, 올해 2분기(3.7%)와 3분기(3.3%)의 증가 흐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 11월부터 코로나19 대응 방역정책을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하면서 민간소비 회복 모멘텀 계기를 마련한 영향이다.
| 자료=한국은행 |
|
특히 상, 하반기로 나눠 분석한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하반기 4.7%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상반기 4.1%, 하반기 3.2%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민간소비 장기평균 추산치인 2.4%를 큰 폭 웃도는 것이다.
한은 측은 12월 중에는 사적모임 인원 제한 등 방역조치가 다시 강화되면서 소비 회복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조금 커졌으나, 단계적 일상회복으로의 방역정책 전환이 계속 이행된다면 상대적으로 회복이 더뎠던 부문을 중심으로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지난 10월 기준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숙박·음식의 경우 2019년 말 대비 89.8%, 운수·창고는 93.3%, 교육은 97.6%, 예술·스포츠·여가는 72.8% 수준이다.
국내 뿐 아니라 코로나19로 막혔던 해외여행 등도 점차 회복되면서 국외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2019년 전체 민간소비의 4.0%를 차지하던 국외소비는 올 2분기 1.2% 수준으로 축소됐으나 항공운수, 여행사 등 서비스 소비와 여행물품 구입 등 재화 소비를 통해 국내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는 평가다.
한은의 이 같은 민간소비 증가세를 전망한 근거는 가계가 그동안 쓰지 않고 쌓아둔 돈이 많은데다가 정부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소비 여력이 늘어난데 있다. 가계 흑자율을 기준으로 봤을 때 지난해 1분기~올해 3분기의 가계 흑자액 중 2019년 같은 기간으로 비교했을 때의 초과 액수는 가구당 평균 310만원 정도로 추산됐는데, 이는 2019년 가구당 평균 처분가능소득의 7.6% 수준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정부의 가구당 공적이전소득은 2019년 대비 평균 50.3% 증가했다.
한은은 민간소비 하방 위험으로 방역정책 불확실성 확대, 물가 상승, 자동차 생산 차질 세 가지를 꼽았으나 경기 회복세가 이어짐에 따라 민간소비 증가 흐름을 저해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민간소비 모멘텀은 방역정책 전환 등 여건 변화에 힘입어 올해 4분기와 내년 상반기까지 비교적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내년에는 국외소비도 완만히 개선되는 가운데 축적된 가계 구매력이 소비의 지속적인 회복 흐름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