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중국 소비자의 트렌드가 브랜드선호, 소비경험, 자기표현 추구로 변화되고 있어 중국시장에서 소득계층별, 지역별, 제품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일 ‘중국의 15개 소비 트렌드를 주목하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소매시장 규모가 지난해 미국의 81%, 한국의 10배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중국 자체브랜드 부상, 온·오프융합(O2O)서비스, 개인맞춤형 제품, 경험소비, 새로운 소비족 대두 등의 15개 소비 트렌드가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밝혔다.
| 최근 중국의 15개 소비 트렌드(자료: 한국무역협회) |
|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소득·소비 구조는 지역간 격차 축소, 중산층·고령화 확대, 전자상거래 약진, 정보격차 축소, 소비계절성 약화 등 5개의 추세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간 소득·소비 격차는 지난 2006년까지 확대됐지만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소비는 소비욕구 증대, 구매채널 다양화, 소비자간 네트워크 확대 등이 반영된 15개 트렌드가 각광받고 있다. 우선 개성·합리적 가격을 내세운 중국 자체 브랜드의 빠른 성장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G2(80년대 출생 바링허우, 90년대 출생 지우링허우) 소비세대 부상, 사치품의 해외구매 증가, 온·오프(O2O)마케팅 활성화, 남성·지방도시의 온라인구매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또 뷰티·유아·식품의 해외직구 증가, 삶의 균형추구, 개인 맞춤형 제품인기, 소비자 권익보호도 주요 트렌드로 떠올랐다.
무협은 이에 따라 한중 FTA 체결을 계기로 한국 중소기업도 철저한 시장세분화 전략 구사와 함께 틈새시장에 대한 브랜드화 전략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차별화된 제품과 독특한 소비 스토리를 부각시켜 온라인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잠재고객 발굴에 힘써야 한다는 설명이다.
무협은 또 중국 소비자의 해외직구 중 한국의 경쟁력이 높은 유아용품(분유, 기저귀), 뷰티(화장품), 식품분야의 구매비중이 높아 중국 쇼핑객(하이타오족)을 겨냥한 맞춤형 제품 출시와 함께 중국 소비자가 불편을 느끼는 배송, 중국어지원, 환불제도, 제품 신뢰성 분야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장상식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중국 소매시장을 놓고 중국제품과 외국제품간의 치열한 경합이 본격화되고 있어 중국시장 진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한중 FTA 체결을 계기로 관세인하 품목의 단순 수출보다는 제품 고급화, 공급망 재구성, 파트너십 구축, 현지진출 강화 등의 중국진출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무협 "올 2분기 수출경기 회복..가전·무선통신기기 호조"☞ 김인호 무역협회장 "모든 문제의 해답은 시장에 있다"☞ [포토]김인호 무협회장 취임 첫 기자간담회☞ 무협, 中企 FTA활용 지원사업 진행..맞춤식 컨설팅 제공☞ 무협-산업부, 청년무역전문가 양성사업 9기 발대식 개최☞ 무협, 한-중남미 비즈니스서밋 갈라 만찬 개최☞ 무협, '중국 유통시장 마케팅 전략 세미나' 개최☞ 무협 "빈틈없는 中 내수 진출 전략 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