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 500여 곳을 대상으로 주택건설 사업의 체감경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월 기준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3.5포인트 하락한 55.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1월 38.2에서 12월 59.3으로 오른 뒤 다시 하락 전환한 것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8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올해 1월 5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다.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전국 지수는 각 지역의 지수를 평균 내는 방식이 아닌 주택 사업자들에게 전국의 경기 전망을 별도로 묻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12월 대비 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국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주로 비수도권 지역의 낙폭이 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지역의 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오른 46.8을 기록했지만, 서울은 7.6포인트 하락한 46.9로 내렸다. 인천과 경기 지역은 각각 6.4포인트, 1.6포인트 오른 45.7, 47.9를 기록했다. 이는 인천과 경기지역 일부(과천·성남·하남·광명 제외)가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1월 10일 발표한 규제지역 해제에 포함된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 일부 지역과 함께 규제지역 해제에 포함된 세종시의 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8.1포인트 오른 76.9를 기록해 12월(35.3포인트 상승)에 이어 가파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지방의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평균 4.3포인트 내리며 하락 흐름이 두드러졌다. 특히 경북·경남권의 광역시와 강원·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낙폭이 컸다. 부산(-13.6포인트), 대구(-10.7포인트), 울산(-11.8포인트), 강원(-14.7포인트), 충남(-11.1포인트) 순이다. 이는 11월 비수도권의 규제지역 전면 해제에 따른 기대감으로 작년 12월 대폭 상승했던 지역들이 다시 조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주산연 측은 이전과 같은 자금 유동성을 회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사들의 부동산관련 PF 대출과 기업대출이 풀리지 않고 있고 단기금융의 불안정성, 금리 인상, 투자 심리 위축, 부동산시장 침체 등 상호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문제가 산재한 탓이다.
화물연대 파업의 영향으로 12월 하락했던 자재수급지수도 1월 기준 8.7포인트 오른 71.2를 기록했다. 화물연대의 파업 종료 이후 국내 자재 공급망이 정상화되고 있고 유가 등 원자재가격도 하향세로 돌아선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