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한은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향후 재화, 서비스, 해외소비의 회복경로 점검’에 따르면 올 2분기 기준 재화소비는 추세 수준에 근접한 반면, 서비스소비(추세대비 98%)와 해외소비(28%)는 추세 수준을 하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추세수준은 2015년 1분기 2019년 4분기 데이터를 가지고 5년 평균치를 구해 이를 추세치로 정의한 것이다.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고금리, 고물가 등에 따른 가계의 실질구매력 증가세 약화와 자산가격 하락이 소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글로벌 경기둔화로 고용 회복, 임금 상승 속도가 점차 완만해질 것으로 보이는데다 주택가격 하락도 역(逆) 자산효과를 통해 소비 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존 연구들은 주택가격이 1% 하락시 민간소비를 연간 기준 약 0.01~0.19%포인트 가량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비스소비는 사회적거리 두기 해제 이후 몰렸던 펜트업 수요가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 다만 문화·예술·스포츠 행사가 재개되고 있어 대면서비스 소비의 추가 확대 여지도 상존한다. 반면 해외소비는 최근 출국자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 각국의 입국규제 완화, 항공사의 국제선 증편 등으로 회복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나마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가계저축이 부정적 충격을 일부 완충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앞으로도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상승의 속도에 따라 민간소비 회복경로에 하방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계의 이자수지(이자수익-이자비용) 적자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가계의 이자부 자산 및 부채 규모, 예대금리차를 고려하면 기준금리 상승시 가계의 이자수지 적자폭이 확대되면서 민간소비 여력이 축소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가구별 원리금상환부담(DSR) 분포를 감안할 때, 금리가 급등하면 과다차입 등 취약가구의 채무부담이 결과를 예측 할 수 없는 비선형적 확대를 보이며 소비여력이 크게 위축될 수도 있다.
오태희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향후 민간소비는 펜트업 효과에 힘입어 해외소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가계 실질구매력 둔화, 자산가격 하락, 금리 상승 등으로 재화소비가 부진하고 서비스소비의 회복 흐름도 약화해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