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안 살래요"…보조금 중단에 난리난 '독일 車'

독일 7월 전기차 판매량 1년 전 대비 37% ↓
전기차 판매량 감소폭 보조금 중단 후 가장 커
스웨덴·스위스도 7월 전기차 판매량 두 자릿수대 감소
"고소득층도 전기차 보조금 중단에 영향"
폭스바겐·벤츠·BMW, 전기차 사업 전환 늦춰질 것이란 우려
  • 등록 2024-08-06 오전 11:17:17

    수정 2024-08-06 오후 7:07:15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독일의 7월 전기차 판매량이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4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선도국인 스웨덴과 스위스에서도 전기차 판매량이 두 자릿수대 감소율을 보이는 등 유럽 지역의 수요가 급감하며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독일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전환 계획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스바겐의 첫 순수 전기차 ID.4.(사진=이데일리 DB)
5일(현지시간) 독일 연방 자동차 운송국(KBA)에 따르면 독일의 7월 전기차 판매량은 3만76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나 급감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독일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전격 폐지한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전기차 판매량이 줄면서 7월 신차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3%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에 견줘 7%포인트 줄었다.

블룸버그통신은 “환경을 생각하는 고소득층 구매자들은 독일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중단에 어느 정도 타격을 받고 있다”며 “저렴한 전기차 모델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전기차 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기차 수요 둔화세는 독일 뿐만 아니다. 전기차 선도국으로 꼽히는 스웨덴은 7월 전기차 신규 등록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했고, 같은 기간 스위스에선 판매량이 19% 급감했다.

보조금 중단에 따른 전기차 판매 둔화로 폭스바겐 AG과 메르세데스 벤츠, BMW 등 독일 완성차 기업들에 대한 사업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 세계 경기 둔화에 전기차 수요 부진까지 더해져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전기차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으나 수요 확대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게 되면서 대규모 손실을 떠안아야 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폭스바겐이 최근 독일 내 고비용 공장의 생산량을 줄이고, 전기차 배터리 생산량 확대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패트릭 험멜 UBS 애널리스트는 “특히 폭스바겐이 전기차 판매 부진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이로 인해 내년 수익에 20억유로(22억 달러)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짚었다.

독일의 전기차 수요 둔화는 배터리 셀 업체 등 다른 분야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프랑스 자동차 부품회사인 발레오 SE는 가동률이 낮은 공장 2곳의 매각에 나섰으며 그 중 하나는 전기차 부품 생산을 위해 개조를 이미 완료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프랑스 부품제조사인 오피모빌리티는 전기차 생산량이 제조사의 예상치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콘스탄틴 갈 EY 컨설턴트는 “전기차 증가세는 지금까지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며 “시장은 모든 모멘텀을 잃었고 많은 고객이 전기차의 전망을 의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부터 유럽연합에서 판매를 늘리고, 더 엄격한 차량 배기가스 배출 목표를 준수하겠다는 자동차들의 계획이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