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1만원을 넘는다면 상징성이 크다. 많은 비판을 받았던 소득주도성장정책의 핵심수단으로 최저임금 인상 카드를 활용했던 문재인 정부의 목표수준이 1만원이었다. 현재 우리나라 최저임금 수준은 다른 국가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나라별 최저임금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최저임금을 정규직 중위임금(낮은 임금부터 높은 임금으로 정렬한 후 중간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나눈 지표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한마디로 국가별 임금수준을 동일하게 만든 상태에서 비교하는 셈이다. 이 방법을 통해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은 2017년에는 정규직 중위임금의 52.8% 수준으로 OECD 28개 국가 중 13위였으나 2022년에는 60.9%로 상승해 8위를 기록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이 다른 국가에 비해 높고 노동시장이 경직적인 결정적 계기는 문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정책 때문이다. 최저임금을 2018년에 무려 16.4%나 올렸다. 이 같은 증가율은 최저임금이 현행과 같이 연단위로 적용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여기에 더해 2019년에도 10.9% 인상, 두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 해에 최저임금 수준이 정규직 중위임금의 60% 수준을 넘게 됐다.
소득주도성장정책의 핵심수단으로 최저임금을 급격하게 인상했던 문 정부의 실정을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 매년 최저임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노동계는 20%가 넘는 무리한 인상을 요구해왔다. 내년도 최저임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20% 수준의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할 경우 파이터치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자영업자 20만 2천명이 1인 자영업자로 전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상황을 감안한 현명한 결정이 이뤄지기를 바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