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 작성지침’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정부가 올해 1차 추경안과 함께 국회에 제출한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재정총량 효과 및 관리방안’에 따르면 내년 국가채무는 1091조2000억원으로 전망됐다. 당장 내년부터 나랏빚이 1000조원을 넘어서는 셈이다. 강도 높은 지출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재정건전성이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다.
다만 내년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본격화로 디지털·저탄소 경제로 전환을 위한 적극적 재정 운용을 이어가야 하는 만큼 재정 혁신을 통해 재정의 중장기 건전성을 확보하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재량지출 구조조정에도 나선다. 재량지출이란 법률에 의해 지출 의무가 발생하고 규모가 정해지는 의무지출 외 지출로 통상 전체 예산의 절반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안도걸 기재부 예산실장은 “올해 예산 편성에도 전반적인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약 10조원 가량을 절감할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이보다 20% 늘어난 12조원 수준의 재량지출 구조조정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구조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한 부처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그렇지 않은 부처에 대해서는 페널티를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중장기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재정준칙 도입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국가채무 급증세를 법률로 조정 및 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재정준칙을 국회에 제출했다. 2025년부터를 적용시점으로 잡은 준칙은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60%, 통합재정수지 -3% 이내로 관리하는 내용이다.
안 실장은 “정부로서는 적극적 재정운용과 재정 총량 관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한다”며 “정부가 해야 할 투자를 최선을 다해 하면서도 중장기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도록 총량 관리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