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이데일리 양승준 기자] 전북 전주시 한옥마을 인근. 동서학동에 시선을 확 끄는 현대적인 건물이 우뚝 섰다. 6만㎡ 부지에 6층 건물(지하 1층·지상 5층) 7개 동이 ‘ㅁ자형’으로 들어섰다. 세련된 외관도 볼 만하다. 철조구조에 유리로 마감한 건물은 현대적인 미술관을 연상케 했다. 10월 출범할 국립무형유산원의 새 둥지다.
국립무형유산원은 예능(아리랑·종묘제례악·남사당놀이)과 기능(한산모시짜기·단청장) 등 비물질적인 문화재 보존과 전승을 위해 만들어졌다. 2005년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가입한 것도 한몫했다. 협약 가입국들은 무형유산의 교육과 기록기관 설치, 전승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문화재청은 “국립무형유산원은 세계 유일의 무형유산 복합시설”이라고 의미를 뒀다.
하지만 개관을 앞두고 먹구름이 가득하다. 국고 760억원이 투입된 국립무형유산원이 시작 전부터 몸살을 앓고 있다. 예산과 인력 부족이 문제다. 2010년 공사를 시작한 국립무형유산원은 애초 10월에 개관할 예정이었지만 정식개관이 내년 5월(예정)로 미뤄졌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콘텐츠 확충 및 장비구축, 관리운영에 소요되는 연간 예산은 110억원. 하지만 올해 국립무형유산원에 배정된 예산은 39억원이다. 이길배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추진단장은 “전기료 등 건물운영 기본 경비만 40억원”이라며 “지금의 예산으로는 제대로 문을 열기가 민망한 상황”이라고 답답해했다.
문화재청은 무형유산의 넓어진 범위와 높아진 중요성을 고려해 국립무형유산원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의 일부로 존재해온 무형문화재 관련법 독립을 추진하고 있다. 단순 보존을 넘어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세계화한다는 계획에서다. 국립무형유산원을 종합 정책기구로 활용해 중국의 무형유산 발굴 강화 등 국제경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