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SMIC(중신궈지·中芯國際)와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 SZ DJI(다장) 테크놀로지 등 중국 핵심기업들을 블랙리스트에 추가로 올리면서다. 여기에 미 정가를 들쑤시고 있는 이른바 ‘미 연방정부 해킹 사건’의 배후에 중국이 자리잡고 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내놓는 등 대중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일단 중국은 원칙적 대응으로 일관하며 차기 조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만을 기다리는 모양새지만, 바이든 행정부 역시 만만찮은 전방위적 대중 공세에 나설 것이 자명하다는 점에서 양국 간 갈등은 상당 기간 지속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쏠린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업체를 포함해 77개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린 바 있다. 이 가운데 59개 기업이 중국 기업이라는 게 중국 상무부의 설명이다. 미국은 SMIC의 경우 군사 산업단지 관련 기업과 활동이 있었고, DJI는 유전자 수집 및 분석 등을 한 혐의로 리스트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월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미 첨단기술이 갈수록 호전적인 적국의 군사력 건설을 돕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미국의 조처는 트럼프 임기를 불과 한 달가량 남겨놓고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강경 정책 유산을 굳히려는 가장 최근의 움직임”이라고 평가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도 지난 7일 왕천과 차오젠밍 등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14명을 제재한다고 발표했었다. 중국 전인대 상무위가 홍콩의 독립을 주장한 야당 의원 4명에 대해 의원직을 박탈한 데 대한 대응이었다.
다만, 미국은 정권교체가 이뤄져도 대중 공세를 되레 강화할 수 있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바이든 행정부 초대 국무장관에 내정된 토니 블링컨은 지난 9월 “기술 민주국가와 기술 독재국가 간 단층선을 따라 일정 정도 분열되고 있다”며 동맹과 함께 중국에 맞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중국이 ‘뒷문 늑대를 피하려다 앞문 호랑이를 만날 수 있다’(前虎後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