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 현대가와 범 삼성가가 손을 잡는, 이례적인 상황까지 생겨났다. 지금까지 서울시내 면세점 유치 계획을 확정지은 곳은 12일 합작법인 ‘HDC신라면세점’ 설립을 공식화한 현대산업(012630)개발과 호텔신라(008770)를 비롯해 신세계(004170), 현대백화점(069960), SK네트웍스(001740), 한화갤러리아 등이다.
국내 유통 대기업이 일제히 서울시내 면세점에 눈독을 들이고 나서면서 가족끼리 경쟁을 하는 묘한 구도도 생겨났다. 면세점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사촌지간이다.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과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은 오촌지간으로, 삼촌과 조카가 면세점 혈투를 예고해 재계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런 가운데 이부진 사장과 정몽규 회장이 가족사를 제쳐두고 경쟁사와 손을 잡은 것은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의 중요성과 절박함을 우회적으로 말해준다.
|
‘HDC신라면세점’은 현재 현대산업개발이 운영하는 용산 아이파크몰 4개층에 연면적 1만2000㎡의 국내 최대 규모 면세점을 지을 계획이다. 정몽규 회장이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면세점 규모(3~4층, 8500㎡)보다 30% 가량 커졌다.
여기에 현대산업개발의 취약점으로는 경쟁사에 비해 부족한 유통 경험이 꼽혀왔다. 면세점을 운영해본 경험은 전혀 없다.
‘HDC신라면세점’의 출현으로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도 크게 긴장하고 있다. 이번 거래로 현대산업개발은 ‘면세점 운영 노하우’를 얻고, 호텔신라는 ‘독점 논란’이라는 비난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게 된만큼 입찰전 유력 후보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유통산업은 업종 형태가 거의 똑같고 경쟁도 치열해 경쟁사간 제휴가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적과의 동침이라고 불리는 파격적인 제휴임에도 양사가 손잡은 것은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6일 관세청 심사기준 발표 이후 경쟁 ‘급물살’
국내 유통 공룡들이 이렇듯 노골적으로 발톱을 드러내기 시작한 건 지난 6일 관세청이 시내면세점 사업자 선정 평가기준을 밝히면서부터다. 이에 따르면 ‘경영능력’(300점)과 ‘관리역량’(250점)의 배점 비중이 가장 컸으며, ‘관광 인프라 등 주변 환경요소’(150점)·‘중소기업 제품 판매실적 등 경제·사회 발전 공헌도’(150점)와 함께 ‘사회환원 및 상생협력 노력’(150점) 등이 포함됐다.
◇1위 업체 ‘롯데’의 선택에 관심 집중
이제 남은 ‘빅 카드’는 면세점 1위 업체인 롯데의 선택이다. 서울 시내 6개의 면세점 가운데 이미 절반인 3곳의 사업권을 갖고 있는 롯데는 애초 ‘독점논란’을 의식해 입찰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최근 다시 ‘검토하겠다’로 입장을 선회한 상태다. 롯데 소공동 면세점의 특허가 오는 12월 만료되는데, 지금처럼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는 지킬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이유다. 롯데면세점의 한 관계자는 “지난 3월 제주 면세점 입찰에서도 신라, 부영과 힘겨운 싸움 끝에 어렵게 사업권을 지켜냈다”며 “관세청이 밝힌 평가기준도 회사에 유리한 측면이 많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격이 최상의 방어일 수 있다는 게 롯데의 판단이다.
면세점 2위 업체인 호텔신라가 현대산업개발과 ‘합종연횡’으로 힘을 키운데 이어 롯데까지 가세하면 면세점을 둘러싼 유통 대기업 간 신경전은 그야말로 극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수침체로 백화점과 마트는 몇 년째 답보상태이거나 역신장하고 있지만, 면세점은 최근 4년 새 매출액이 두 배 가까이 느는 등 높은 성장률을 보여 왔다. 특히 작년 시내면세점 규모는 4조5000억 원에 달했다. 유통업계에는 면세점이 유일한 불황의 탈출구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바뀌지 않는 한 면세점을 둘러싼 유통 대기업 간 혈투는 오는 7월 시내 면세점 신규사업자가 결정된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관련기사 ◀
☞호텔신라-아이파크몰 손잡다.."용산 시내면세점 추진"
☞[특징주]현대산업 '강세'..1Q 실적 호조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