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내홍을 조기에 수습하고 집권여당으로서의 권위와 역할을 되찾기 위해 주 위원장은 대통령실과 이 전 대표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해당 사태를 야기한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역부족이란 의견이 많다. 이로 인해 내년 초 치러질 예정인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까지 당 내부 분열과 혼란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이 전 대표가 한 달여 만에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대통령과 윤핵관을 저격한 데 이어 연일 당 지도부에 대한 집중포화를 퍼붓자 당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친윤(친윤석열) 세력인 2030 청년 당원과 친이준석계 당원들이 맞붙으며 치열한 설전을 벌이고 있다.
청년 당원 갈등에 첫 불을 지핀 인물은 윤석열 대선 캠프 청년본부장이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청년소통TF단장을 맡았던 장예찬 청년재단 이사장이다. 그는 지난 18일 이용 의원의 도움으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전 대표와 친이준석계 청년 스피커, 이준석의 강성 팬덤으로 당내 청년당원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당의 혁신을 위해 (이 전 대표는) 반성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갈등이 최고조로 치달으며 기존 의원들도 전선에 참여하며 한마디씩 거들자, 홍준표 대구시장은 “한쪽은 오래된 성추문으로 공격하고 한쪽은 되지도 않은 응석과 칭얼거림으로 대응한다”며 “참 구질구질하게 정치들 한다”며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현 비대위 상황에서 차기 당권을 노리거나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주요 여권 인사들 사이에서도 이 전 대표에 대해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표적 인물로는 유승민·나경원 전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김기현·안철수 의원 등이 꼽힌다. 윤핵관 계파색이 비교적 덜한 이들은 최근 당내 혼란과 수습을 위해 자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며 당내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모양새다. 특히 안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주도한 혁신위원회를 공개적으로 폐지하고 비대위 단일체제로 가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후 주 위원장 중재로 갈등은 봉합되긴 했지만 이후 안 의원은 팬덤정치를 막기 위해 여야 중진협의체를 제안하는 등 갈수록 행보를 넓히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원은 “비대위 전환 과정과 이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한 의견은 물론 차기 전당대회를 둘러싼 이견도 상당해 앞으로 의사결정에 험난한 과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
이런 상황에서 이 전 대표를 징계하며 현 사태를 야기한 당 중앙윤리위원회는 또다시 입장문을 내며 추가 징계를 시사했다. 윤리위는 “당헌 및 당규에 따라 당의 위신 훼손, 타인의 모욕 및 명예훼손, 고질적인 계파 갈등 조장 등 당원의 품위유지를 위반하고 반하는 것에 대해 예외 없이 엄정하게 관련 사안을 심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실상 최근 이 전 대표에 대해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이 같은 입장문에 대해 이 전 대표는 언론에 “푸하하하”라고 의견을 전하며 비꼬았다.
|
그는 윤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과 관련해서는“(야당이)‘검찰 출신을 너무 많이 쓴다. 아는 사람들 위주로 쓴다’는 것도 한번 돌아봤으면 좋겠다”며 쓴소리를 했다. 그러면서 “차기 전당대회는 오는 12월에 시작해서 내년 1월이나 2월에는 새 지도부를 선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