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S에 어떤 통신 기술을 쓸지는 ‘C-V2X’를 미는 중국외에는 국제적으로도 정해지지 않았지만, 업계는 정부가 조속히 기술방식을 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오랫동안 연구한 덕분에 안정성이 검증된 웨이브 인프라를 구축한 뒤 5G기반 C-V2X로 전환해야 할지,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초기부터 5G C-V2X를 도입해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다.
|
C-ITS 통신 기술이 중요한 이유는 자율주행차나 커넥티드카의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도로나 교통신호등에 각종 센서를 붙이고 자동차에 통신 모뎀을 넣어 통신하면 안전 운전을 위한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그간 국토부와 도로공사를 중심으로 ‘웨이브’를 중심으로 실증사업을 진행해 왔는데, LTE나 5G를 이용하는 ‘C-V2X 기술’이 급진전하면서 갈등이 생겼다. 웨이브는 10년 정도 생태계가 형성돼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커버리지가 넓고 초저지연이 되는 5G C-V2X보다는 기술력이 떨어진다.
반면, 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은 C-V2X를 밀고 있다. 자율주행차나 커넥티드카가 5G와 융합되면 다량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가능해져 안전 운전이나 보험 서비스 제공 등에 유리하다.
‘웨이브’냐, ‘C-V2X’냐는 다른 나라에서도 혼란이다. 중국 정부는 C-V2X를 지원하는 발롱(Balong) 765 칩 개발에 나선 화웨이와 함께 시범 도시를 정하고,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오바마 정부때 ‘웨이브(802.11p, DSRC)’의 신차 탑재를 의무화하려던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이후 전면 중단을 선언했고, 안정성을 이유로 단거리 통신에 ‘웨이브’를 택하려던 유럽은 관련 법안이 의회에 계류돼 있다.
|
국토부 관계자는 “시점이 어떻게 될 지는 모르나 인프라 구축 시점에 안정성이 검증된 기술을 도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5G기반 C-V2X는 국제표준화 등 시간이 걸리지 않느냐”고 말했다. 웨이브 방식을 지지하는 셈이다.
반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웨이브인지 C-V2X인지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국내 시장만 보고 기술을 개발하기 어렵지 않느냐”면서 “중국만 봐도 큰 시장이니 C-V2X 생태계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온도차를 보였다.
다음 달로 예정된 국토부와 도로공사의 C-ITS 예비 타당성 결과가 나오면, 정부 내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현재 웨이브 방식으로만 쓰는 5.9GHz 대역(70MHz폭)의 일부를 C-V2X로 나눠줄지도 이슈다.
과기정통부는 사업자들과 협의해 5.9㎓ 대역 7개 채널(70MHz폭) 중 2개 채널(20MHz폭)을 LTE·5G 이동통신용 C-V2X 용도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나,한국도로공사는 특정 기술로 용도를 확정짓기 보다는 사업별로 필요한 기술을 선택해 사용하자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