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직함이 있었다. 인재영입위원장이었다. 문 대통령이 당대표를 내려놓기 전 마지막까지 쥐고 있던 자리다. 매일 같이 영입인사를 발표하며 20호 인사를 채웠고 이 중 절반인 10명이 20대 총선에서 당선됐다.
|
2016년 1월이 문 대통령에게 엄혹했던 이유는 그래서였다. 자신의 거취 문제도 있었지만 최측근으로 분류되던 노영민 당시 의원이 ‘시집강매’ 비위로 정치적 실형을 받았다. 총선이 불과 반년도 남지 않은 시점이었다.
그 즈음 국회 정론관에는 연일 민주당을 탈당하겠다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국회의원들의 탈당은 당연했고 시·도의원의 탈당까지도 굳이 정론관을 찾아 알렸다. 이들은 국회 정론관에서 마이크를 쥘 권한이 없었다. 현역 의원이 이들을 정론관에 끌고 왔다. 문재인 ‘당대표’ 지도력에 흠집을 내기 위한 시도였을 것이다.
문 대통령의 선택은 ‘엄정 감사’였다. 2015년 12월1일 노 의원의 비위가 알려지고 이튿날에 문 대통령은 “노영민 의원 건에 대해 엄정하게 감사할 것”을 당무감사원에 지시했다.
3선 의원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 자리까지 맡고 있었고, 자리가 위태로웠지만 당대표의 최측근이던 노 의원이었다. 정치적 중량감이 무거웠다. 문 대통령을 비호할 수 있는 당내 유력인사기도 했다.
그래도 문 대통령은 단호한 대처를 주문했다. 당무감사원도 일사천리였다. 문제가 발생한 지 일주일만에 당 윤리심판원에 중징계를 요구했다. 최근 민정수석으로 청와대에 입성한 김조원 신임 수석이 당시 당무감사원장으로 내린 결단이었다.
김조원 원장을 임명한 것 역시 문 대통령이었다. 문 대통령은 최측근 인사에게 엄정한 잣대를 들이댈 것을 주문했고 이에 김 원장도 호응하듯 중징계를 촉구했다.
당대표로서는 엄정 감사를 주문했던 문 대통령이었지만 노 의원의 총선 출마 금지에 누구보다 아쉬웠던 것도 문 대통령이었다. 문 대통령은 노 의원의 총선 출마 금지가 확정되고 먹먹하게 “안타깝다”고 긴 한숨을 내쉬었다. 당대표를 내려놓기 하루 전, ‘인간’ 문재인으로서의 소회였을 것이다.
|
그러나 김 수석에게 그 무엇보다 강한 진심이 느껴지는 건, ‘심심한 각오’가 아닌 문 대통령과 노 실장, 그리고 김 수석이 2016년 1월 직접 보여줬던 단호한 행동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