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문재인 정부내 기술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암호화폐’로 대표되는 퍼블릭 블록체인(비트코인, 이더리움)의 확산 가능성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거래소 없이도 블록체인 육성은 문제없다는 시각을 재확인했다.
◇다음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환정 정보통신정책실장과 KISA 블록체인확산팀장, 이강현 ETRI실장, 정보통신기술지원센터(IITP) 박현제 총괄PM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자단 스터디에서의 질의응답. KISA가 만든 ‘블록체인 기술력 오해 해소 Q&A’와 ‘현장 질의응답’ 중심으로 정리했다.
-가상화폐(암호화폐)는 어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가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통화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내 참여자가 공동으로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 없이도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무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거래소가 없으면 블록체인 기술발전에 문제가 생기는가
▲거래소는 가상통화 보유자 간 거래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등장했다. 거래소 없이 블록체인 기술은 지속적으로 개발돼 왔으며, 채굴자 및 가상통화 존재만으로도 가상통화 거래는 가능하다.
-거래소도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가
▲대부분의 거래소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지 않으며, 기존 인터넷 서비스와 동일하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다르다..거래소 폐지까지 검토 여전
▲가상통화 거래소 규제를 말하는 것이다. 개별 부처 입장은 아니고 지나치게 가상통화가 과열되니 그렇다. 과기정통부 입장은 다른 부처와 같다. 거래소 자체에 대한 규제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의 사이버 거래(인터넷 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 과거 정통부가 ‘전자서명법’을 만들었듯이, 과열 등을 제재하지만 건전한 거래는 육성할 ‘암호화폐촉진법(가칭)’이 필요하지 않나.
▲암호화폐법(가칭)은 현재 고민은 아니다.(양환정 실장)
과기정통부,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가능성 별로
-블록체인이 미래 4차 혁명 주도 기술이 될까
▲인터넷 자체가 약간의 P2P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완전한 분산 컴퓨팅은 아니다. 완전한 분산 구조를 만든다면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박현제 IITP PM)
▲전 좀 부정적이다. 냅스터로 음악파일을 공유할 때 실제 세계의 법이 적용될까 논란이었지만 현재 다 저작권법이 적용되고 있다. 거래 비용 문제의 위에는 기업과 조직, 국가가 있다. 기술적인 가능성만으로 크게 활용되진 않을 것이다.(양환정 실장)
-그래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하지 말라는 이야기냐
마이닝 없는 암호화폐도 있어
-암호화폐 지갑의 기능은
▲가상통화 지갑은 시중은행의 통장과 유사하며, 가상통화를 보관하고 같은 가상통화끼리 거래가 가능하다
-거래 기록이 모든 참여자에게 기록된다는데 암호화폐 지갑에도 저장되는가
▲거래기록은 채굴자에 의해서 모두 저장되며, 가상통화 지갑에는 자신의 보유액에 대한 거래만 기록된다.
-채굴(마이닝)이란 무엇인가
▲채굴자가 자신의 컴퓨터 자원을 제공해 블록체인 시스템이 요구하는 특정한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이다.
-모든 암호화폐가 마이닝에 기반하는가
▲비트코인은 마이닝을 통해 인프라를 유지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유효성을 검증, 통화 발행을 하는 가상통화들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