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지하경제 양성화 등을 통해 복지재원 조달이 가능하다고 여러 차례 언급해왔다는 점에서 이 같은 원칙에서 물러날 수 없다는 얘기다.
복지 공약 축소도 현재로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 기초연급 지급 대상, 4대 중증질환 보장 등의 공약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공약 후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은 공약 변경을 논의할 때가 아니라고 본다”고 잘라 말했다. 다만 세출절감 등의 상황을 지켜보며 공약이행의 우선순위는 미세 조정할 가능성은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14일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조세저항이 큰 만큼) 대선 당시 복지공약을 일단 유보하자는 의견, 폐기하지는 말자는 의견이 함께 있다”면서 “일단 국민들에게 공언한 사안이고 경기활성화도 기대되는 만큼 복지공약은 최대한 그대로 가져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나성린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부위원장도 “경제가 1% 성장하면 세수 2조원은 더 걷힌다”면서 “경제성장을 통해 세수부족분을 메우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내 일각에선 반발기류가 적지 않다.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공약을 던져놓고 이행하라고 하면서도 세금은 늘리면 안된다고 하면 무순 수로 하느냐”며 “당에서 이 부분에 대해 전면 재검토를 시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제 문제에 정통한 한 의원은 “보편적 복지로 가면 재정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선택적 복지로 간다고 솔직하게 밝히고 복지공약을 수정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최재성 민주당 의원은 “복지공약 축소는 말이 안된다”면서 “모든 것은 부자감세를 철회하지 않고 대기업 증세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편적 증세를 하려면 부자감세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