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2020년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 출시를 목표로 추진 중인 만큼, 조기 상용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실증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완성차 업계는 최고의 부품을 사용해 자율차 조기 상용화에 힘쓰고, KT·SK텔레콤·네이버·카카오 등은 스마트 모빌리티 구현을 위한 산업연계형 융합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에따라 정부는 지난 22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서 13대 혁신성장동력을 정하면서 ‘자율주행차’를 포함했다.
자율주행차는 2018년에 산업부 578억 원, 국토부 487억 원, 과기정통부 112억 원 등 총 1177억 원을 지원한다.
전국 모든 도로 시험운행이 가능한 임시운행허가 제도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기술개발도 추진되는데▲첨단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인공지능 기반의 주행상황 인지·판단 SW 등 자율주행차 관련 R&D를 지원한다.
스마트도로, 정밀도로, 정밀GPS 등 인프라를 전국 주요 도로에 구축하고, 자율차와 인프라가 연계되는 자율협력주행 교통서비스도 실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테스트베드 ‘K-City’ 조기구축 및 판교 무인셔틀버스,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시연 등 시범운행도 확산한다.
세계적으로도 주요IT 및 완성차업계 중심으로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이 활발하다.
완전자율주행은 빠를 경우 2030년경 상용화가 전망되며, 2022년 내 달성가능한 최종성과는 레벨3 상용화와 관련 교통체계 구축이 될 전망이다.
벤츠, GM 등 자동차 업체뿐 아니라 구글, 애플 등 IT 업체도 경쟁에 참여 중이며, 일본, EU 등 선진국은 정부주도로 R&D를 추진 중이다.
2025년 자율주행차 시장규모는 420억 달러로 예측되며, 2035년 시판차량 4대중 1대는 자율주행차로 전망됐다.(보스턴컨설팅그룹)
자율주행차 성장률은 2020년 8000대에서 2035년 9540만대(연평균 85%)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Navigan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