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이상한 상황에 왜 그런가 물어보고는 무릎을 쳤습니다. ‘매출 1위 편의점을 찾아봐야겠다’라는 생각을 접게 됩니다.
왜일까요. 임대료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입니다. ‘서울의 무슨 빌딩 편의점 매출이 전국 1위다더라’라는 보도가 나가면 임대료가 올라갑니다. 선의로 인터뷰에 응했던 편의점 점주들은 몇 해가 안돼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해야 했습니다. 결국은 사업을 접는 경우도 생겨났다고 하네요. 선의로 응했던 인터뷰가 재앙이 됐던 것입니다.
상황은 요즘도 비슷합니다. 맛집 방송 등이 많아지면서 뜻하지 않은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는 것이죠. 유명세를 타면 건물주가 임대료를 올리거나 원래 세입자를 쫓아내는 식입니다. 어찌 보면 소상공인의 계층 상승 사다리를 발로차는 것이나 마찬가지죠.
결국은 임대료를 감당할 만한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즉 기업화된 자본 밖에 남지 않게 됩니다. 특색있는 거리는 다시 획일화되고 찾는 사람들은 적어지는 것입니다. 경리단길, 서촌, 북촌 등 개성 많고 실험적인 식당들이 생기면서 독특한 골목문화를 만들었던 서울 지역들이 또 한 예입니다.
사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단어는 슬럼가의 고급주택화를 뜻합니다. 젠트리가 신사, 일종의 중산층을 의미하는데, 그들의 지역이 된다는 뜻이죠. 사회학자 루스 글랜스가 1964년 영국 런던을 관찰하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본 젠트리피케이션의 모습은 이렇습니다. 싼 임대료를 찾아 중산층이 빈민가로 이주하고 이는 그 지역 임대료 인상으로 이어집니다. 결국 원주민은 더 외곽으로 밀려납니다. 슬럼가가 고급주거공간이 되는 것이죠. 지금은 고급 주택지역이 됐지만 첼시도 한 때는 대표적인 런던내 낙후 지역이었습니다.
|
어떻게 보면 건물주들의 재산권 행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들의 재산권도 보호받아야 합니다. 도시의 발달에 따라 젠트리피케이션은 피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임차인을 배려하는 건물주가 적지 않다는 점입니다. 공실의 활용성을 높아주는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른바 공간 공유입니다. 위워크나 패스트파이브 같은 공유 오피스 기업이 대표적이죠.
|
결국은 함께 살아가고 공존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땅을 가진 사람들이 한발씩 양보하고 임차인이 나의 재산을 불려주는 고마운 존재라고 여긴다면 수백 % 오른 임대료에 눈물짓는 소상공인들이 줄어들겠죠. 저성장 시대에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묘안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