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택시·플랫폼 상생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기구는 택시산업 규제혁파와 초고령 운전자 개인택시의 다양한 감차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합의안은 우선 실행이 필요한 규제안으로 ‘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를 적시했다. 단순히 플랫폼과 택시의 결합을 넘어 택시의 규제를 대폭 완화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 택시기사의 소득을 높여주겠다는 구상이었다.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TF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은 “당정청, 택시업계, 플랫폼업계가 택시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고 교통편익에 부합하는 스마트형 택시 만들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두 달이 지난 현시점에서 택시산업 규제혁신을 포함한 합의안에 대한 후속 조치는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다. 이때문에 부차적인 ‘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에 대한 세부 논의도 전혀 이뤄지지 못했다.
게다가 택시와 모빌리티 관련 사업모델들은 정부의 ICT 규제샌드박스 통과에 어려움을 겪으며 택시 규제 혁신은 지지 부진해지고 있다. 일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는 지난 9일 벅시·타고솔루션즈가 신청한 6~10인승 렌터카 이용 공항·광역 합승서비스에 대한 실증특례 심의를 보류했다.
|
이 때문에 애초 정부·여당이 택시·모빌리티 업계 문제를 제대로 보지 못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현재 ‘타다 반대’ 집회를 주도하고 있는 서울개인택시조합은 사회적 대타협 합의에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다.
서울개인택시조합도 정부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며 대대적인 규제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국철희 이사장은 지난 1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택시 선진화의 길을 가려고 하는 걸 정부가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타다 베이직 차량인) 카니발은 손님들의 선호 차량이다. 그런데 택시는 하고 싶어도 국토부가 막아놔 할 수가 없다”며 “택시에게 그런 것을 허용해 주면 5000대에서 1만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택시업계에선 시민의 선호도가 바뀌는 추세를 반영해 택시 차종의 다양화를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다”며 “국토부는 택시에 대해선 차종 변화를 못 하게 막으면서 (타다는 허용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