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O는 2008년 ‘사이버모욕죄’ 파동 이후 만들어진 단체로 학계, 시민단체, 법조계 등의 각개 인사들이 모여 인터넷상의 차별·혐오 표현이나 연관 검색어 배제 정책 등을 심의하고 결정한다. 앞으로 ‘가짜뉴스 신고센터’도 만들 예정이다.
이 기준은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사의 이른바 ‘가짜 뉴스’의 기본 처리방안을 담은 KISO의 자율적 가이드라인이다.
KISO의 이번 가이드라인은 ‘가짜 뉴스’를 언론사의 명의나 언론사의 직책 등을 사칭 또는 도용하는 등으로 기사형태를 갖춘 허위의 게시물로 정의했다.
회원사는 이러한 게시물이 유통되고 있음을 신고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 이를 삭제하거나 기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창작성과 예술성이 인정되는 패러디·풍자임이 명백한 경우에는 적용을 제외하고 있다.
또한 ‘가짜 뉴스’로 지목되기도 하는 명예훼손성 정보나 언론사 오보 등은 제외했다. 이는 명예훼손성 정보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임시조치 제도를 통해, 언론사의 오보는 언론중재법 등의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KISO는 ‘가짜 뉴스’에 대해서 2017년부터 KISO 포럼 등을 통해 공론화하고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해 준비해왔다.
실제로 2016년 미국 대선에서 언론사가 작성하지 않은 기사 형태의 게시물인 ‘가짜 뉴스’가 선거 당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지면서 많은 논란이 돼 왔다.
이에 KISO 정책위원회는 일정 부분의 ’가짜 뉴스‘의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였고, 해외 사례와 국내 제도 및 판례 등을 검토해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KISO 회원사인 네이버, 카카오, SK커뮤니케이션즈 등에서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가짜 뉴스의 삭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각사의 약관 등이 개정되는 5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아울러 KISO는 회원사와 논의해 가짜 뉴스 신고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제5절 언론보도 형식의 허위 게시물(가짜뉴스) 관련 정책
제33조 (목적) 본 절에서는 인터넷 공간의 신뢰성을 높이고 공익을 보호하기 위해 언론의 기사형식을 도용 또는 사칭한 허위 게시물에 대한 처리 기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34조(게시물 제한)
① 회원사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게시물이 유통되고 있음을 신고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 이에 대해 삭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만, 게시물이 창작성과 예술성이 인정되는 패러디나 풍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언론사의 명의나 언론사의 직책 등을 사칭 또는 도용하여 기사 형태를 갖춘 게시물의 경우
2. 게시물의 내용이 허위로 판단되는 경우
② 회원사는 제1항의 요건의 적용 여부에 대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KISO에 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③ 회원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정책규정 제2장 및 제4장에 해당하는 게시물의 경우 해당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