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만 뜨면 눈이 '번쩍'…"우리 아이가 잠을 안 자요"[하이, 육아]

⑤생후 0~1개월, 육아 난이도 결정할 신생아 수면 패턴
해만 뜨면 좀처럼 잠들지 않아 초반엔 수면 부족 걱정
밤에는 수유 후 잠들지 않으면 어쩌나 매 순간 조마조마
'수면교육' 강박, 양육 스트레스 가중…내려놓으니 편안
  • 등록 2023-11-11 오전 11:30:00

    수정 2023-11-12 오후 8:01:46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육아를 시작하면 이해할 수 없는 일 투성이다. 예를 들자면, 울길래 공갈젖꼭지를 물려줬는데 얼마 안 있다 뱉어내더니 또 운다거나 하는 등의 일 말이다.(수유, 배변, 놀이 욕구 다 채워주고 난 상태다.) 또 물려주면 울음을 그치는데 기어코 얼마 안 가 뱉어내길 반복한다. 그중 제일은 졸리다고 세상이 떠나갈 듯 우는데 무슨 수를 써도 잠을 자지 않는 것이다. 찾아보니 신생아는 생후 3개월이 지나야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본격적으로 분비돼 졸릴 때 잔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이른바 ‘100일의 기적’ 전까지 엄마아빠는 아이의 수면 패턴에 따라 천당과 지옥을 오간다.

우리 아이는 낮에 좀처럼 잠이 들지 않는다. 지금은 안아서 재우기와 역류방지쿠션, 바운서, 공갈젖꼭지 등을 총 동원하고 있어 낮잠은 2~3회 정도 자는 편이다. (사진=송승현 기자)
한창 커야 할 생후 한 달, 10시간 자는데…“제발 눈좀 감아주세요”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 아이는 밤잠 측면에서는 무난한 편에 속했다. 산후조리원에서부터 밤에 잘 잔다는 말을 들었고, 집에 와서도 저녁 시간에는 무리 없이 잠을 자곤 했다. 문제는 낮잠이다. 아침 6~7시, 늦으면 9시 되면서부터 눈을 뜨는데, 낮잠을 거의 자지 않는 편이다.

신생아는 하루에 약 16~17시간을 잔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아이는 낮잠을 안 자다시피 하니 적게는 10시간, 평균 13시간가량밖에 자지 않았다. 안 그래도 작게 태어나 걱정인 마당에 잠까지 자지 않으니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산후조리원에서는 모자동실 시간에 매일 자고 있어서 제발 눈 좀 떠줬으면 했는데, 이제는 제발 감아줬으면 기도하는 처지로 바뀌었다.

다른 난관은 잠투정이다. 아이는 졸려서 자고 싶은데 잘 수 없을 때 울거나 떼를 쓴다. 낮잠을 안 자다시피 하니 낮 시간 내내 아이의 울음을 달래줘야 했다. 낮에 아무것도 못 하고 아이에게만 집중하는 그 시간은 사실 너무 힘이 든다. 또 너무 많이 울다 보니 목은 쉬지 않을까, 졸린데 자지 못하는 아이가 안쓰러워 마음도 아프다.

이런저런 시도 끝에 역류방지쿠션에 잠시 눕혀놨는데 찡찡대다가 잠이 들었다. 검색해 보니 낮잠 꿀템으로 역류방지쿠션은 이미 유명하더라. 바운서가 애기 달래는 데 좋다는 말에 곧바로 당근마켓으로 중고 거래를 해왔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달래지는 것뿐만 아니라 공갈젖꼭지를 물리면 잠도 잤다. 5일간 고생이 끝나는 조금은 해소되는 순간이었다. 다만 역류방지쿠션이든, 바운서든 길면 1시간이라 여전히 ‘토끼잠’은 여전했지만 마른 하늘에 단비이다.

애플리케이션 ‘마미톡’에 기록된 우리 아이의 주(週) 패턴의 모습. 빨간 박스가 낮잠을 자야하는 시간대인데 보면 거의 잠을 자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도 역류방지쿠션과 바운서를 이용해 잠을 재워 그나마 잔 거다.(사진=송승현 기자)
수면교육 잠시 내려놓으니 아이 수면질↑…낮잠, 밤잠 모두 해결

낮잠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생후 1개월이 가까워지기 시작하면서부터 밤잠에도 ‘노란불’이 켜켰다. 아이의 패턴이 먹고→잔다에서 먹고→놀고→잔다로 변한 것이다. 특히 노는 시간이 1시간~1시간 30분 정도 되는데 밤잠에서도 이 패턴이 종종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맞물려 ‘등센서’가 장착되면서 아이가 품에 안겨 자다가도 침대에 눕히면 눈을 번쩍 뜨고 울기 시작했다.

더 이상 아이의 수면 패턴이 망가지면 내가 버틸 수 없을 것 같았다. 그 유명한 ‘수면교육’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일단 등센서를 제거하기 위해 잠이 들려는 기미가 보이면 무조건 침대에 눕혔다. 하지만 대실패였다. 하루는 1시간 30분이나 울면 안아서 달랬다가 다시 침대에 눕히는 걸 반복했다. 너무 운 나머지 아이의 목도 쉬었다. 수면교육을 하니 오히려 잠이 안 들어 힘듦은 더욱 가중됐다.

이후에도 수면교육은 강박관념으로 자리 잡았다. 실패할 걸 뻔히 알면서도 나중을 위해라는 명목으로 무조건 침대에 눕히거나, 울도록 내버려 두는 이른바 ‘파버법’을 병행했다. 결국 아내가 수면교육은 60일 이후 또는 아이의 평균 1회 수유량이 120ml가 넘으면 하기로 했다. 이후 검색해 보니 낮과 밤이 구분되는 2개월 때부터 하는 게 좋다더라.

마음을 내려놓으니 아이의 수면질이 확 개선됐다. 낮에 침대에 눕히는 대신 안아서 재우니 최소 2회 이상 4~5시간을 자기 시작했고, 수유량도 덩달아 늘었다. 물론 밤에도 5시간 이상을 자기 시작할 정도로 발전했다. 육아하며 다양한 정보와 꿀팁을 접하지만, 내게 맞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걸 또 시기가 있다는 걸 느끼는 순간이었다.

나중에 알았지만, 밤잠을 무리 없이 자는데 낮에 잠을 자지 않는 건 아주 좋은 현상이라고 한다. 아이 스스로 이미 낮과 밤을 자연스럽게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원래는 아내 요구에 따라 집 블라인드를 흰색으로 해 암막 효과가 거의 없어 불만이 많았는데, 오히려 이게 아이에게 자연스럽게 낮과 밤을 인식하게 한 것 같다는 게 우리의 추측이다. 역시 아내 말을 잘 들어야 한다.

육아에 있어서 가장 힘든 건 아이를 재우는 일이다. 때로는 4시간 이상을 연이어 안 잘 때도 있고, 새벽에 깨서 우는 경우도 있어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지만 이 스트레스도 잠자는 아이를 보고 있으면 모두 녹아내린다. (사진=송승현 기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태연, '깜찍' 좀비
  • ‘아파트’ 로제 귀국
  • "여자가 만만해?" 무슨 일
  • 여신의 등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