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을 찾지 못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고 이런저런 검사를 받아야 했던 소아희귀병 환자 A군. 닥터앤서를 만나고 병명 진단이 15분 만에 나왔다.
대장암이 의심됐던 환자 B씨. 인공지능 대장내시경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기기 덕분에 암 진단 여부를 빨리 알 수 있었다.
정부가 개발한 AI 의사 ‘닥터앤서(Dr.Answer)’ 이야기다. 닥터앤서는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총 488억 원(정부 364억 원·민간 124억 원)을 투자해 만든 인공지능(AI) 의료용 소프트웨어(SW)다.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26개 의료기관 및 22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등 연 인원 총1962명이 참여한 이 기술은 AI 정밀의료, AI 의사 등으로도 불린다.
올해에는 가천대 길병원에 설치돼 국내 최초로 AI기반 대장 내시경 검진체계를 갖췄다.
‘디지털콘텐츠과’는 전담팀 신설, 의료분야 규제 분석을 통한 지원, 주기적 성과관리, 관련 규정의 적극적인 적용을 통한 연구개발 기간 연장 및 외교 협력 등을 통해 ‘닥터앤서’ 개발을 주도했다.
그 결과 소아희귀질환 등 진단정확도 개선, 판독시간 단축 및 해외시장 진출 기반 마련 및 의료비 절감 등 의료서비스 향상으로 국민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또 다른 최우수사례로 코로나19시대, ‘디지털 배움터’를 통한 디지털 불평등 해소에 노력한 ‘디지털포용정책팀’이 선정됐다.
광역·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누구나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온·오프라인 디지털 교육 체계를 마련했고,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거나 경력단절, 관련분야 퇴직자 등을 디지털강사·서포터즈로 채용해 지역 일자리 4000개 이상을 창출했다.
그 밖에 ‘우수’ 사례에는 △전자서명법 개정에 따른 공인전자서명제도 폐지(정보보호기획과)△세계 최초 시내버스 와이파이 전국 구축완료(네트워크안전기획과)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대응 전략 마련(인공지능산업팀)이 선정됐다.
’장려‘ 사례로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디지털 뉴딜 정책 추진(정보통신정책과)△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을 위한 소부장 R&D 전략 업그레이드(성장동력기획과)△SW 종사자가 일하기 좋은 현장 중심의 공공SW사업 환경 개선(소프트웨어산업과)등 5건이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본부 및 소속기 관에서 제출한 총 88건의 적극행정 사례에 대해 외부 전문가 서면 평가와 ‘적극행정위원회’ 평가를 통해 최우수 2건, 우수 3건, 장려 5건 총 10건을 선정했다”며 “우수공무원 인센티브 확대, 적극행정 공무원 보호·지원 확대 등을 포함하는 ‘2021년 적극행정 실행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