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472건으로 전월 5690건의 25.9%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8301건)과 비교하면 17.7% 수준이다. 신고는 거래 후 30일 이내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거래량은 늘어나겠지만, 이 추세라면 올해 2월 거래량은 많아야 3000건 안팎에 그칠 공산이 크다.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지난달엔 2253건 거래됐는데, 작년 같은 달(4956건)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하지만 집값은 상승폭이 미미하게 줄어들었을 뿐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월 첫째주 0.10% 오른 뒤 둘째주 0.09%, 셋째주와 넷째주 각각 0.08%로 보폭을 줄였지만, 상승세는 여전했다. 2·4대책 발표 영향으로 아파트값이 내렸다고 의미 부여하기엔 역부족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거래량 감소에도 여전히 가격 상승세가 높다”며 “1~2월까지 서울 아파트값이 2% 올랐는데, 지금 추세라면 연간 10% 오르는 셈으로 시장 안정이란 표현이 전혀 맞지 않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숨고르기 후 시장은 다시 가파른 상승 그래프를 그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올해 입주물량이 예년보다 상당히 적은데다 새 임대차법 시행 후 전월세 강세가 계속되는 추세여서다.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2만7000여 가구로 작년(5만300여 가구)에 비해 반토막 난다. 2월19일부터는 서울 대부분이 속한 분양가상한제 지역에서 전월세 금지법까지 시행돼 새로운 전월세 물량의 충분한 공급도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의 2·4공급대책도 ‘약발’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은 우려를 더하고 있다. 이은형 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보통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 효과가 두어달 지속된다”며 “당장 공급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2·4대책 효과도 곧 희미해져 이달 말쯤 매수세가 다시 붙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눈에 띌 만큼 다시 집값 상승세가 보일 경우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는 많지 않다”며 “2·4대책의 신속한 추진을 강조하겠지만 무주택자들을 붙들기엔 단기 효과를 내기 힘들 것 같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