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대책 시행 전후로 분양시기가 갈린 비슷한 입지와 단지규모의 두 단지는 청약경쟁률이 두 배가 넘는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지난 10월 분양한 ‘신촌숲 아이파크’는 74.8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지만 지난달 분양에 나선 ‘신촌 그랑자이’는 31.9대 1의 경쟁률에 그쳤다. 1순위 요건이 강화되고 전매 제한 기간이 길어지면서 ‘묻지마 청약족’이 줄어 청약경쟁률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실제 분양경기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지표는 청약경쟁률이 아닌 계약률이다. 청약경쟁률이 수십대 1을 웃돌고도 정작 초기 계약 단계(계약 개시일로부터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에서 100% 계약을 달성하는 단지는 많지 않을 만큼 청약경쟁률과 실제 계약률 간 차이가 커서다. 따라서 실제 주택 구매 의사가 있는 수요자들은 청약경쟁률이 아닌 계약률을 통해 단지의 실제 가치와 경쟁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시·도단위로 공개되는 분양률은 주택구매 수요자가 실제 구매의사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입지 등에 따라 같은 지역 내에서도 단지별 청약경쟁률의 차이가 큰 상황에서 지역 전체의 평균 계약률은 특정 단지의 주택 구매를 결정하는 데에 참고지표가 되지 못해서다. 더욱이 11·3 대책에 따라 실수요 위주로 재편되는 청약시장에서는 이같은 단지별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진다. 그러나 미계약 물량에 대해 자체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건설사는 단지별 계약률은 물론, 시·군·구 단위의 계약률을 공개하는 것도 꺼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