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갑자기 야당 간사의 입에서 ‘개각설’이 튀어나왔다.
박홍근 의원(더민주당)은 정민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의 갑작 스런 사의 표명이 부적절한 처신 때문이 아니냐고 물으면서 개각설을 언급했다.
최양희 장관이 “개각에 대해 제가 평가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답해 더 이상 이슈화되지 않았지만, 찌라시(정보지)를 통해 돌던 말들이 공식석상에서 이슈화돼 적잖은 파장을 나았다.
요 며칠 사이에 미래부 장관 교체설은 찌라시 통신에 자주 등장했다.
장관 대신 모차관이 장관이 될 것이라든지, 소속 공무원 갑질논란과 함께 이공계 병역특례 폐지와 CJ헬로비전 심사를 둘러싼 관련 부처와의 노출이 장관 교체의 배경이라든지 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최근 나오는 개각설의 이면에는 특정 세력이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소속 기관 공무원들에 대한 관리책임은 그렇다고 해도, 미래부가 이공계 병특 폐지에 반대하는 것(국방부와의 이견)이나, SK-헬로비전 인수합병 심사가 지연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공정위와의 이견) 자체가 교체 이유로 언급되는 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최 장관을 쫓아내고 다른 사람이 와야 득이 되는 누군가가 있지 않다면 개각설의 배경으로 삼기에는 부실한 논거다.
더이상 흔들기를 볼 수 없어서인지 검찰이 롯데에서 뒷돈을 받은 의혹이 있는 미래부 고위직에 수사한다는 보도가 나오자 미래부는 금품수수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발 빠르게 해명했다.
개각설의 배경이 박근혜 정부가 마무리되는 시기에 최 장관보다 더 창조경제를 잘 이끌 수장이 필요하다는 이유라면 모르겠다. 창조경제는 이 정부의 아이콘처럼 불리나, 사실 우리 아이들의 일자리 마련을 위한 유일한 대책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미래부가 창조경제혁신센터라는 하드웨어에만 관심 있고-그것도 대기업 팔을 비틀어서 만든-때문에 청년 실업률이 줄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김대중 정부때 벤처 인큐베이팅센터와 다르지 않다며 이명박 정부 때의 녹색성장처럼 창조경제 역시 다음 정부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 말한다.
하지만 최 장관만큼 창조경제의 혁신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드물어 보인다. 그는 공무원들이 혁신센터를 평가할 때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회의 개최 건수 같은 잣대로만 평가해 오히려 창의성을 저해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혁신센터 평가지표 개선 의지를 밝혔다.
내년 대선에서 누가 권력을 잡아도 창조경제라는 시대적 과제를 더 잘 발전시켰으면 하는 바램이다.
“창조경제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고 글로벌 이슈다. 보통 대통령이 되면 과거 흔적을 지우기 바쁜데 오히려 왜 이 정도 밖에 못했을까 생각하고,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창조경제를 키워, 과거정부와 질적인 경쟁을 하는데 집중했으면 한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