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미국의 출구전략에 따라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자본유출위험이 말레이시아나 필리핀 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내년에도 우울…민간소비 줄어 경제성장 견인 어려워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출입기자단 전지세미나에서 추가경정예산과 금리 인하 등 긍정적 정책효과에도 불구, 미국 재정문제와 신흥국 시장의 불안, 엔저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당분간 획기적으로 높아지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특히 정부 재정이 경제성장을 주도하면서 내년 초에는 성장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변 실장은 “2013년 2분기에 1%대 성장률(전기대비)을 달성했는데, 이는 2011년 2분기 이후 9분기 만에 이뤄진 일”이라며 “하지만 이는 정부소비나 건설투자 등 정부 재정이 주도한 것으로, 정부소비보다 3배가 큰 민간소비는 0.3%포인트 밖에 기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변 실장은 “한국은행은 내수가 많이 성장하면서 견인할 줄 알았지만, 우리가 보기에는 가계 소득이 증가해도 소비가 아니라 부채를 갚는 데 쓰는 시기”라면서 “민간 소비자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은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
미국이 내년 3월 이후 양적 완화 축소를 진행할 때 국내 금융권에서 자본이탈 위험이 높은 것도 먹구름이다. 미국은 양적 완화를 한 이후에 1조 2000억 달러를 풀면서 약 300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신흥국으로 유입됐는데, 양적 완화가 축소되면 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큰 것이다.
변양규 실장은 “국내에 유입된 해외자본은 유입 규모나 유출 가능성 측면에서 모두 신흥국 평균이상을 기록하고 있어 위험하다”면서 “금리인상을 통한 자본유출 대응보다는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자본이탈을 막기 위해 6월 13일 이후 기준금리를 3배 올렸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는 “신흥국에서 빠져나간 단기 투기성 자금이 당장 본국인 미국으로 가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우리나라에 몰릴 수 있다”며 “핫머니 움직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