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과 관련해서는 이 질병의 치료가 결핵과 특별한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 주목을 끈다.대표적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는 세계적으로 약 620만명에 이른다. 국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는 23만여명으로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체에 자기관용 (self-tolerance) 현상이 깨지면서 자가면역이 발생할 경우 T세포가 자가항원을 비정상적으로 인식하여 활성화되다. 이와함께 B세포도 활성화되면서 자가항원에 반응하는 자가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우리 몸에서는 자기세포를 공격하는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자가면역이 발생, 인체의 조직이 파괴되기 시작하고,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기관이 손상을 입는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날 때 이를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한다. 자가면역질환은 세균, 바이러스, 이물질 등 외부 침입자로부터 내 몸을 지켜주어야 할 면역세포가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질환이다.
|
류마티스관절염, 건선, 루프스, 염증성 장질환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는 대부분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면역억제제 요법은 면역세포 중 T 림프구를 억제하여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킴으로써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요법이다.
세계적으로도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을 면역 억제제 요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다.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는 TNF-α (alpha) 억제제이다. 세계 자가면역질환의 의약품 시장전망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다. 오는 2021년에는 1100억달러(약 131조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세계적으로 연간 약 1700만명 정도가 면역 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환자들은 면역기능의 약화로 인해 외부의 요인에 의해 감염성 질환의 발병이 높아진다. 특히 결핵의 발병의 위험성이 있다고 한다.
이때문에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서 결핵 위험성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인 류마티스관절염의 경우 면역 억제제가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어 널리 쓰이고 있지만 잠복결핵을 활성화하여 결핵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의 치료제로 사용 중인 TNF-α 억제제가 오히려 결핵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논문도 나왔다. 이 논문은 자가면역질환자의 면역억제제 치료 시 면역방어기전이 억제되어 결핵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실제 지난 2016년에 PLoS One 저널에 게재된 한 논문은 자가면역치료제인 휴미라 (성분명: adalimumab), 엔브렐 (성분명: etanercept), 전통적 합성 항류마티스제 (csDMARDs)를 복용한 그룹에서 결핵의 발병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논문은 추적기간이 늘어날수록 결핵의 발병률도 증가한다는 사실도 적시했다.
|
이처럼 자가면역질환의 면역억제제의 사용은 오히려 결핵의 발생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속속 밝혀지면서 결핵확산의 또다른 진원지로 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 듯 결핵 진료 지침에서도 TNF-α 억제제를 사용하여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치료 시작 전에 잠복결핵 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TNF-α 억제제 치료 중에도 중간중간 잠복결핵의 검사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면역억제제 사용 시 결핵의 발병률이 증가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의 면역억제제 치료 전 결핵백신의 접종을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현재 결핵 예방 백신은 소아용인 BCG 결핵백신 만이 유일하기 때문에 면역억제제 치료 전 청소년 및 성인 대상으로 하는 결핵백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