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는 관료 출신이 40%를 차지하는 반면 미국 포춘이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는 74%가 재계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보여주는 한국 대기업의 사외이사는 ‘바람막이용’인 반면, 미국 대기업은 전문가를 중용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30대그룹 중 영풍 두산 CJ OCI 동국제강 신세계 롯데 효성등 8개그룹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50%를 넘었다. 반면 미래에셋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단 한 명도 없고, 포스코 LG KT도 10%대에 불과했다.
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235명으로 38.6%에 달했다. 다음은 186명을 배출한 학계로 30.5%를 차지했다. 미국기업들이 사외이사로 가장 선호하는 재계 인사는 97명으로 15.9%에 불과했다. 그외 언론(25명, 4.1%), 공공기관(24명, 3.9%), 법조(17명, 2.8%), 세무회계(14명, 2.3%), 정계(4명, 0.7%) 출신 순이었다.
반면 포춘 100대 기업의 경우는 815명의 사외이사 중 재계 출신이 603명(74.0%)으로 4분의 3에 달했다. 반대로 관료 출신은 10%도 못되는 81명(9.9%)에 그쳤다. 그 다음은 학계 57명(7.0%), 세무회계 31명(3.8%), 언론 15명(1.8%), 법조 12명(1.5%), 정계 8명(1.0%) 순이었다.
출신 분류는 재직기간이 가장 긴 경력과 최고 직위를 기준으로 적용했다.
미국 1위 그룹인 월마트는 전체 9명의 사외이사 중 5명(55.6%)이 재계 출신이었다. 이 중에는 구글 출신으로 현재 인스타그램 최고 경영자를 맡고 있는 케빈시스트롬(Kevin Systrom)과 구글 출신이자 현재 야후 CEO인 마리사메이어(Marissa Ann Mayer)도 포함돼 있다. 월마트의 관료 출신은 2명(22.2%)에 그쳤다.
관료출신 사외이사, 점차 감소 추세
아직은 가장 막강한 집단이지만 국내 30대 그룹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도 점차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올해 관료 출신은 2013년보다 18명(7.1%) 감소했다. 관료 출신이 전체 사외이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1.5%에서 38.6%로 2.9%포인트 떨어졌다.
관료 사외이사도 법조 국세청 공정위 감사원등 소위 4대 권력기관 출신에 집중됐다. 전체 235명 중 4대 권력 기관 출신이 132명으로 56.2%에 달했다. 법원·검찰이 69명(29.4%), 세무 41명(17.4%), 공정위 17명(7.2%), 감사원 5명(2.1%) 순이었다. 4대 권력 기관에 이어 청와대 58명(24.7%), 기획재정부 17명(7.2%), 금감원 4명(1.7%) 등이 뒤를 이었다.
영풍, 두산 등 60% 이상
그룹별로는 영풍(000670), 두산(000150) 등 5개 그룹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60% 이상으로 높았다. 영풍이 69.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두산(64.0%), CJ(62.1%), OCI(61.5%), 동국제강(60.0%) 순이었다. 이어 신세계(52.6%), 롯데(51.7%), 효성(50.0%)이 50%를 넘었고, 현대차(48.9%), 대림(42.9%), 현대백화점(42.1%), SK,·현대중공업(40.0%)도 30대 그룹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미래에셋은 계열사 3곳의 사외이사 9명 중 관료 출신이 단 한 명도 없었다. 포스코도 전체 17명의 사외이사 중 관료출신이 2명으로 11.8%에 불과했고, LG(14.3%), KT(17.2%)도 10%대에 그쳤다. 이어 대우조선해양(20.0%), 대우건설(25.0%), 한화(28.6%), 한진(31.3%), 금호아시아나(31.6%), 삼성(32.3%), KCC·GS·S-Oil(33.3%), 동부(35.3%), 현대(36.4%), LS(37.5%)가 30대 그룹 평균치를 밑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