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안랩(053800)은 국내 유료 백신시장의 63.2%를 점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 56곳을 조사해보니 안랩 제품을 쓰지 않는 기관은 8기관에 불과해 사용률이 85.71%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적으로 가장 인정받고 있는, 영국의 보안평가기관 ‘바이러스 블러틴’에서 시행한 테스트에서 안랩은 2009년, 2010년 B등급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2011년부터 겨우 B등급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또 A등급의 기준은 이미 알려진 바이러스 사후 탐지율 90%이상,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 사전 탐지율 85% 이상을 얻어야 하는데, 경쟁사인 국내 이스트소프트는 2011년 A등급을 받았으며 2013년에는 B등급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나라처럼 안랩 제품이 시장 점유율 50%이상 차지하고 있는 특수 상황에서 안랩 제품을 공격 목표로 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 및 피해 대비책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특정 보안 제품을 타깃으로 한 해커의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안랩은 국내 보안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능력을 수년 동안 보여주고 있는 업체”라면서 “혹시 안철수 전 대표의 정치활동이 안랩에 대한 비판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랩과 이스트소프트도 각각 해명 자료를 냈다.
그러면서 “ A사 백신이면 A사가 탐지 못하는 악성코드를 만들어내고 B사 백신이면 B사가 잡아내지 못하는 악성코드를 침투시키는 게 현재의 주된 공격방식”이라며 “안랩의 점유율이 높아 문제라는 것은 억측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스트소프트도 “바이러스블러틴에서 시행하는 ‘VB100’ 테스트에서는 별도의 등급을 책정하지 않는다”면서 “다만, 국감에서 언급된 A등급 기준 적용 시, 이스트소프트 알약은 2011~2013년 테스트 모드 A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