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이번주 국내 증시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 변화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전망이 엇갈리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이날 거래를 마감한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6일 보고서를 통해 “국내 증시는 △미국 1월 고용 서프라이즈 충격 속 연준인사들의 발언 이후의 연내 금리 경로 전망 변화 여부 △블리자드, 디즈니,
SK이노베이션(096770),
카카오뱅크(323410) 등 주요기업들의 실적, △중국 PPI,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등 인플레 지표 등에 영향 받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주간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로는 2420~2520포인트를 제시했다.
미국의 1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51만 7000건으로 전월(26만건)과 예상치(18만 5000건)를 대폭 상회하는 슈퍼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실업률(3.4%)은 예상치(3.6%)를 하회했고, 시간당평균 임금 상승률(전년동기대비 4.4%)도 예상치(4.3%)를 상회했다. 경기 침체 분위기 속에서 고용시장이 냉각될 것이란 전망과 달리 고용시장이 호조를 나타내면서 미 연준의 금리인상 경로에도 다시 불확실성이 커졌다.
한 연구원은 “‘고용 수치가 놀라우며 인플레와 싸움에서 승리를 선언하기엔 이르다’는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의 발언처럼, 1월 고용 서프라이즈는 연준의 연내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전망을 조절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일례로 이번 고용 지표 발표 이후 CME FedWacth에서 반영하고 있는 5월 FOMC 25bp 인상 확률은 33%대에서 59%대로 상승하면서 최종금리가 5.0%가 아닌 5.25%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더 나아가 1월 랠리 이후 코스피, 나스닥 등 한국과 미국 증시 모두 단기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미국 빅테크주들의 실적 부진이 포지션 조절의 명분을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그는 “1월 증시 상황을 반추해보면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등 주력기업 실적 쇼크에도 주가가 견고했던 것은 연준 정책 전환 기대 등 우호적인 매크로 분위기에서 기인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이 같은 분위기가 변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한 연구원은 “물론 1월 미국 고용 호조에도 연내 경기 침체 가능성은 여전히 높으며, 이번 달 데이터 하나만으로 침체 경로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결론 짓기에 무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금주에 한해서는 시장 참여자들간 연준 정책 변화를 둘러싼 각자의 전망이 수정되고 엇갈리는 과정에서 증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