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이의 재조명은 국민의 가계통신비 절감 차원에서만 진행되는 건 아니다. 사람뿐 아니라 사물까지 통신망에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의 비용절감 솔루션으로도 주목받고 있으며, 지방선거 이후 부산시 등은 스마트시티 차원에서 차세대 와이파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등이 와이파이를 도입하는데 있어 넘어야 할 산이 없는 건 아니다.
국민은 무료로 쓰지만 구축비나 운영비가 드는 만큼 광고 등 별도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하고, 지자체 IoT망(자가망)간 연동 여부를 두고 국토교통부는 찬성이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정적이다.
1인당 월 데이터 트래픽 8GB시대…통신비 줄일 지하철·버스 와이파이 프로젝트 봇물
과기정통부에따르면 지난 5월 기준 LTE 가입자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7746MB였다. 1GB가 1024MB이니 8GB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버스 공공와이파이 임차운영사업’ 1차 사업을 진행해 중소기업 메가크래프트(피앤피플러스 자회사)가 수주했고,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얼마 전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한 대중교통(버스)에서의 공공와이파이 체감 품질개선’사업의 우선 협상대상자로 SK텔레콤·ETRI·도로공사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3개 프로젝트 모두 사실상 ETRI가 개발한 MHN(Mobile Hotspot Network)기술이 적용된다. 해당 기술은 기존 와이파이에서처럼 LTE 백홀(전송)을 이용했을 때보다 최대 300배가 빠르다. ETRI는 올해 초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이를 시연했으며 2019년에 MHN-E(MHN-Enhanced)로 고도화시켜 최대속도를 10Gbps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
현재보다 훨씬 빠른 초고속 와이파이는 지자체에서도 관심이다. 공공와이파이 확대를 공약으로 건 부산시 오거돈 시장이나 성남시민의 통신비 절감에 관심 있는 은수미 성남시장 등이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802.11ax)에 기반한 통신비 절감 프로젝트를 스마트시티 차원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광고 외에 무료 와이파이의 비즈니스 모델은 눈에 띄지 않아 극복 과제로 꼽힌다.
정부나 공공기관이 서비스하는 IoT통신망(자가망)을 상호 연동할 수 있게 전기통신사업 법 관련 조문을 바꿔야 하는가는 여전히 논란이다. 구제역 확산 방지만 해도 지자체망간 연동하지 않으면 효과가 떨어지는데, 연동한다면 사업자(기업)만 전기통신사업을 할 수 있는 전기통신사업법에 저촉되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스마트시티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와 국토부는 서로 다른 입장이다. 과기정통부는 설비 운영유지 비용까지 고려하면 자가망 연동이 더 비효율적일 수 있으니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확산을 위해선 비용절감을 위해 자가망 연동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양 부처는 별도의 자문단 전담팀까지 만들어 논의 중이고, 대통령 주재 규제개혁 점검 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평가위원회 구성 등 입장을 조율할 것으로 전해졌다. 평가위원회를 과기정통부가 주도하는가, 지자체가 주도하는가 등이 이슈다.
한편 미국에서는 최근 Starry라는 회사가 차세대 와이파이(802.11ax) 기반 고정 무선랜 출시를 준비하면서 1억달러(약1115억원)를 추가 투자받아 1조 원 규모의 자금을 모았고, ETRI와 제휴한 피앤피플러스 역시 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등 와이파이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