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7일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고 여전히 신중모드를 이어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내 답방 성사를 위해 북측으로부터 답변을 받아야 하는 마지노선’에 대해서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6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북한으로부의 소식이 안왔다”고 확인한 데 이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에도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한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여부는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내부적으로 이달 중순 이후부터는 주요 정치일정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서다. 17일은 김정일 부위원장의 기일이며 24일은 김정은 위원장의 할머니인 김정숙의 탄생일, 27일은 북한의 7대 명절 중 하나로 꼽히는 헌법절이다. 이어 30일은 김 위원장이 최고사령관으로 추대된 날이며, 이튿날인 1월 1일에는 북한 주민을 상대로 신년사가 발표돼야 한다.
전문가는 우리 정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은 9·19 합의사항을 이행한다는 차원이지, 실질적으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지난 4월 변경한 ‘경제건설 총력집중’ 노선의 성과를 정리하고 내년 신년사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으로 북미 고위급회담도 벅차서 고민이 많은 상황”이라며 “북미 협상 구도 차원에서 미국에 무언가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 문재인 대통령을 활용하겠다는 절박함이 있지 않은 이상, 오히려 답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무언가를 내놔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북한의 답변은 어느쪽으로든 북한의 의중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며 “답방을 미룬다면 북미 대화를 우선으로 하고 남북 대화를 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일 수 있고, 연내 답방을 받아들인다면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정상급에서 전할 메시지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