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보다 정확성이 떨어지고 무증상 감염자의 민감도가 20% 이하를 맴돌고 있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비율이 줄지 않는 상황에서는 감염 확산세를 차단하기엔 역부족이란 얘기다.
|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형 상생방역’ 전략의 일환으로 영업장의 자가진단키트 활용이 전제돼야 한다며 정부에 사용승인을 촉구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민감도가 낮은 코로나19 환자는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며 “다양한 검사방법을 도입하자는 취지는 좋지만 자가진단키트 검사로 노래연습장 등 입장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방역관리 차원에서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 교수는 “자가진단키트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이 아직 나지 않았고, 설령 나더라도 현장에 적용하는 데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면서 “방역을 강화해 4차 유행을 막아야 하는 시점에서 영업시간 완화를 전제로 자가진단키트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위험해 보인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도 “자가진단키트는 임상연구도 없었고, 업체에서 민감도가 90%라고 주장은 하지만 이는 바이러스 농도가 진한 검체로 한 결과”라며 “실제 상황에서는 40%이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가진단키트로 노래연습장에서 양성이 나오면 그 업소도 이미 오염에 노출된 걸 의미하는데, 방역당국이 조치를 취하기 전까지 업주가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서울시 방침에 따라 검사자의 출입을 허용한 뒤 위음성(가짜 음성)으로 나오게 되면 뒷감당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걱정스럽다”고 했다.
예산 확보도 문제다. 오 시장은 이날 코로나19 브리핑 후 자가진단키트 도입 비용을 묻는 질문에 “중앙정부와 협의하겠다”면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하지만 자가진단키트의 도입 전제 조건이 정부의 거리두기 지침과 거꾸로 가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방역지침을 따르지 않는 이들에게 세금으로 검사를 지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교수는 “무증상 확진자를 찾아내는 데 실효성이 떨어지는 자가진단키트에 수 천억원을 쓸 바에 그 돈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지원하는 게 감염 확산을 막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