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거주 외국인을 포함해 총 1002만5927명(2019년 3분기 기준)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서울시. 하루 평균 159명의 신생아가 태어나고, 124명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합니다. 또 142쌍이 부부의 연(緣)을 맺고 46쌍이 이혼하는 현실도 벌어집니다. 바쁜 도심 속에서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은 하루 평균 1189만8000여명에 달합니다. 대한민국의 교통·문화·교육·상업·첨단 산업의 중심지인 서울에서는 하루에도 다사다난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데일리는 서울에서 벌어지는 한 주간 주요 이슈와 정책을 살펴보고, 시민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사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시가 감염병에 특화된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한다. 지난 2017년 서울시립대를 통해 서남대 의대 인수를 추진해 무산된 지 3년여만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공공의료 인력 양성에 대한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 커진 만큼 그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서울시는 필요 시 다른 지방정부와 손을 잡아서라도 국내 최초로 지방정부 차원에서 공공의과대를 반드시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7단계. 서울시는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감염병 발생 시 대응단계를 7단계로 나눠 기민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중앙정부의 감염병 대응 단계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4단계로 구분돼 있다. 이를 △관심 △주의 △경계1 △경계2 △심각1 △심각 2 △회복기 등 7단계로 세분화해 더욱 촘촘하고 즉각적인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예를 들어 신설된 심각1단계는 집중대응 1기로 2주간 신규환자가 100명 이상 발생했을 때, 심각 2단계는 집중대응 2기로 2주간 신규환자가 500명 이상 발생할 경우에 해당한다.
4개 병원. 서울시 차원의 감염병 대응 컨트롤 타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12개 시립 병원 중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서남병원, 서북병원 등에 각각 감염병 특화 센터를 설치한다. 나머지 시립병원도 위기 상황 발생 시 감염병 치료병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능을 대폭 개선한다.
박 시장은 서울 중구 을지로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을 인근 방산동 미 공병단부지로 이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감염병 전문병원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3년. 서울시는 2017년 인수를 추진했다 무산된 공공의과대학를 설립하기 위해 다시금 적극 나서고 있다. 과거 인수추진 당시 희망가격은 1000억원이었다. 다만 아직 의과대 설립 방식은 정해지지 않았다. 지난 2017년과 같이 기존 의대를 가진 대학을 서울시립대가 인수할지, 서울시립대 내에 의대를 새로 신설할지, 지차체와 공동 재원을 통해 의대를 설립할지 모든 가능성을 놓고 검토 중이다.
이미 미국과 일본 등에서는 여러 지방정부들이 협력을 통해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운영 중이다. 미국의 WWAMI(와미) 주립의과대학의 경우 워싱턴주, 와이오밍주, 알레스카주, 몬태나주, 아이다호주가 연합해 각주마다 1년에 10명씩의 인원을 선발하고 있다. 이처럼 서울시도 다른 지자체와 공조해 공공의대를 설립할 수 있다는 뜻도 처음 내비쳤다.
박 시장은 “500조원이 넘는 국가 예산 가운데 약 50조원을 국방에 쓰고 있지만 이를 국민들이 낭비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감염병 예방에도 2800억원은 충분히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다”며 “공공의료 기능을 대폭 강화한 서울형 표준방역모델을 구축·확산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