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무대로 ‘평창’이 주목받고 있다. 그간 우리 정부의 대북 대화 제의에 무시 전략으로 일관해오던 북한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는 참가든 불참이든 어느 한 쪽을 택해야 한다. 대화의 계기가 될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질지 평창이 그 답을 알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대북 대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취임 직후인 지난 7월 독일 베를린에서 ‘베를린 구상’을 통해 북한을 향해 남북군사회담과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개최 의사를 타진했고 국제 무대에서도 한반도에 전쟁은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러나 북한이 우리 정부의 제안에 호응하지 않고 도발을 일삼으면서 한반도 긴장은 완화될 기미를 모르고 있다. 도리어 미국에서 북한 선제 타격론이 불거지는 등 우리 뜻과는 무관하게 일촉즉발의 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애초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은 우리의 의지나 능력과 거리가 있다는 점에서 쥐기 힘든 카드다.
주요 계기를 활용하는 북한의 정치적 셈법은 올해에는 일치하지 않았다. 구구절이나 쌍십절 계기로 도발을 행하던 과거 패턴과는 다르게 김정은은 정해진 핵개발 플랜대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을 자행했다. 그런 점에서 평창은 우리가 북한에 던지는 주요한 계기인 셈이다.
평창을 통해 우리 외교의 힘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을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주요국 정상 등 국빈을 초청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엠마누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참석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가족을 보내겠다는 약속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딸인 이방카 트럼프의 방한도 예상된다. 뜻밖의 이벤트를 기대하는 바람도 있다. 손기웅 통일연구원장은 “김정은이 올림픽 무대에 김여정을 세우면서 주도권을 쥘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과 북한 정권을 대표하는 두 여성이 참석한다면 평창에는 흥행 청신호가 켜진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평창 올림픽에) 참석 의사를 보인 각국 정상급은 43명이고 그 가운데 15명은 참석하겠다는 뜻을 전해 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