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의 연결로 시작되었다. 이후 웹이라는 혁신기술을 만나면서 정보와 정보의 연결을 완성했으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이라는 기폭제를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컴퓨터의 연결에서 정보의 연결로, 다시 사람의 연결로 급격하게 팽창해 온 인터넷은 이제 사물의 연결로 그 영역을 넓혀가면서 초연결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4~5년 후인 2020년대에 진입하면 500억개의 사물과 1조개의 센서가 새롭게 인터넷에 연결될 것이라 한다. 지구의 인구가 50억명 정도라고 하니 개인당 10개 이상의 사물과 20개 이상의 센서가 동시에 연동되는 초연결 시대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눈앞에 다가온 초연결 시대를 상상하면서 우리는 연결의 폭증과 함께 데이터의 폭증을 고민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조지 길더의 텔레코즘(telecosm)이 떠올랐다. 강력한 하나 보다 다수 연결의 힘을 예측한 텔레코즘. 초연결 시대에서 연결의 힘은 어떤 모습일 까라는 의문과 기대는 현실이 되었다.
우리는 텔레코즘이 증명한 연결의 힘이 초연결 시대에는 어떤 새로운 연결의 모습이 될 것이며, 어떻게 만들어내야 하는지 준비하고, 기다리기보다는 먼저 실행해야 한다.
누구나 상상하는 미래 시나리오지만, 고령화 사회를 직면하고 있는 지금 건강한 100세 시대를 지향하는 의료복지의 미래 모습을 초연결 환경에서 그려본다면 우리는 새로운 연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나마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융합되는 초연결 시대의 새로운 인프라를 선도하여 ICT 강국의 제자리를 되찾고 아울러 융합 신산업 성장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제 우리는 사물과 컴퓨터 등 모든 기기, 데이터와 지식, 인공지능 등이 수평과 수직의 복합적인 새로운 연결 구조를 밑바탕으로 타 산업과 융합되는 미래형 융합모델을 위해 새로운 시작을 해야 한다.
우리는 어제의 미래가 오늘, 현실이 되는 세상에 놓여 있다.
shlee@et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