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란 ‘로봇’과 ‘어드바이저’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개인의 투자 성향을 반영한 포트폴리오를 구성·운용하는 자산 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국내에는 지난 2016년 도입됐고, 콴텍은 같은 해 설립됐다.
이 대표는 “RA는 기본적으로 펀드나 ETF 등의 상품을 고객을 대신해 선택하고, 고객의 상황과 수익 목표에 맞춰 알아서 조정해주는 투자일임에 집중한다”며 “안정적인 장기 투자를 할 때 가장 적합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그간 국내에서는 퇴직연금에 대한 RA 투자일임이 허용되지 않아 RA가 불가피하게 직접투자와 경쟁하며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투자자 입장에선 당장 높은 수익률에 시선이 갈 수밖에 없는 만큼 핫한 종목에 대한 개별주 투자나 직접투자에 비해 낮은 수익률에 RA의 매력이 부각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안정적인 장기 투자가 중요한 퇴직연금 RA 일임 시장이 열리면 RA의 장점이 부각될 것이란 기대다. 이 대표는 “우상향해온 나스닥지수에 꾸준히 투자하면 수익을 볼 수 있단 걸 누구나 알지만 막상 주변에서 그 방식으로 돈을 벌었단 사람을 찾기는 어렵다”며 “투자자들이 직접 투자할 때 단기간 내 큰 변동성을 견디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대표는 “나스닥지수가 고점 대비로는 최대 60% 가량 하락을 보인 적도 있는데, 개인 투자자들이 이 구간에서 흔들리지 않고 장기 성과를 생각하며 투자를 이어가기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지점이 바로 RA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부분”이라며 “RA는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빠른 대응으로 손실 폭을 투자자들이 견딜 만한 수준으로 최소화함으로써 장기 투자로 안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콴텍은 최근 AI 기술과 증권사 PB 고객관리 서비스를 결합한 증권사 구독형 ‘PB 플랫폼’을 출시하기도 했다. 챗GPT를 활용해 PB들의 고객 자산 분석을 돕는 플랫폼이다. 이 대표는 “RA가 보다 확산하기 위해서는 이미 고객의 신뢰를 받는 PB들이 적합한 RA를 포트폴리오로 제시해 주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해 만든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투자일임은 앞으로 전체 투자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며 “우선 퇴직연금을 기반으로 많은 관리 자산을 확보하고 PB플랫폼과 같이 영역을 넓혀가며 종합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