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 국제협력단장은 스마트시티는 전 세계적으로 막 시작됐을 뿐 완성체가 아니라고 했다. 그는 최근 정부가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꼽은 ‘수출선도형 스마트 시티’ 과제를 총괄기획했다. 2000년대 중반 국토교통부와 정보통신부가 추진한 U시티 프로젝트에도 관여했다.
|
그는 IBM이 지원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교통·범죄 관제센터(Rio Operation Center)나 필립스와 시스코 등이 지원한 덴마크의 코펜하겐의 가로등 센서 프로젝트(덴마크 아웃도어 라이트 랩, Denmark Outdoor Light Lab, DOLL),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IoT 관광 정보 서비스를 초기 단계의 스마트시티 성공사례로 꼽으면서도, 스마트시티는 기술이 아닌 데이터 축적과 흐름(Flow)의 문제라고 진단했다.
조 단장은 전력 같은 인프라가 이미 깔려있는 기존도시와 신도시 개발에 있어 스마트시티 모델은 달라질 수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 참여를 이끄는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도시는 15% 정도 되는 원거리 발전에서 가정까지 오는 전력 손실률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그리드라는 양방향 체제를 만들고 전기차가 머무는 동안 해당 아파트 단지의 축전지 역할을 하게 하는 등 기존 인프라는 그대로 두고 모니터링하고 이를 네트워킹 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또 “하지만 중국은 베이징이나 상하이 정도를 빼면 막 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상황이어서 다르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등도 마찬가지”라고 부연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스마트시티 건설을 국가 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선정해 2016년에서 2020년까지 총 1조위안(약 168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바 있다.
그는 “지나친 부동산 가격 상승은 스마트시티를 모든 걸 해결하는 최고 기술로 무장한 비싼 최고급 도시로만 생각해서 생긴 오해”라면서 “각 지자체의 현실을 고려해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 특히 시민의 참여로 전체 거주자 이익의 총량이 투자 대비 얼만큼 늘어날지 계산해 외부 사업자들에게 사업모델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것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단장은 “스마트시티가 비즈니스모델과 같이 가지 않으면 정부의 연구개발(R&D)자금을 받아 신기술을 테스트만 하는 좀비 기업들만 양산할 수 있다”면서 “스마트시티로 주위 땅값만 오르는 것은 누군가는 손해를 보는 치킨게임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세계적인 스마트시티 솔루션 기업 육성이나 공유경제 플랫폼 확산, 두레 같은 사회문화적 공동체 등 선순환적인 가치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