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은 기후변화 대응 및 도심 재생 차원에서, 개도국은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교통이나 범죄 또는 수질관리 같은 문제 해결 솔루션으로 스마트시티에 주목한다.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마켓샌드마켓츠(Marketsandmarkets, ‘15)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전세계 시장규모는 4000억 달러에서 2019년 1조1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스마트시티가 범 지구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미국, EU, 중국 등이 IBM, 시스코, 슈나이더일렉트릭, 지멘스 등 자국 기업들과 함께 수출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도시역사와 앞선 ICT기술이 스마트시티 수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발전의 역사는 1960년대부터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30~40년간 급속도로 확산돼 저개발국가와 상황이 비슷하다. 200년이상 점차 다운타운과 외곽 전원도시로 발전한 외국과 다른 것이다.
또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반부터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해 반도체, 국산전전자교환기(TDX) 등에서 성공했으며, 특히 아파트 위주의 주거환경으로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망(초고속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는 등 인프라 연계 분야도 앞서 있다. 유럽이나 미국은 주로 임대주택 모델인데 반해, 우리의 핵심 주거 인프라는 아파트인 것이다.
이런 강점을 활용해 우리나라는 국토부(도시건설), 미래부(정보통신), 산업부(에너지)가 힘을 모아 도시 내 개별 기술간 연계와 통합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뛰고 있다.
국토부를 중심으로 미래부, 산업부사 참가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총괄조정위원회(조정위)’를 구성한 것이다. 이는 이미 구성된‘K-Smart City 수출추진단(단장 국토부 1차관)’ 산하 분과위원회로 운영된다.
이재형 미래부 신산업융합과장은 “미래부는 그간 부산시, 대구시, 고양시를 IoT융·복합 시범 단지로 조성했는데 이번에 국가 전략 프로젝트가 되면서 도시 차원의 검증도 훨씬 잘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우려도 나온다. 도시라는 것이 각 나라의 문화와 특성을 잘 반영해야 하는데 실적 중심으로 가다보면 후유증이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압축성장에 길들여진 우리 문화나 사고가 스마트시티 추진 과정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수출 대상국이나 도시 관계자들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그 나라의 특성을 설계단계부터 잘 반영하고 문화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