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뿐 아니라 부지가 남는 지방 대학이나 땅을 많이 가진 개인 등도 최종 제안서를 냈다지요. ‘네이버’라는 혁신 기업을 유치해 인근 스타트업들에게 서버호텔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주려는 지자체나 경영난에 시달리는 지방대학, 갈수록 IDC가 돈이 될 것으로 보는 개인의 관심이 몰린 탓입니다.
데이터센터는 거대한 전산실이어서 그 자체로 고용유발 효과가 큰 것은 아니지만, 급속히 성장하는 클라우드 시장을 생각해보면 이들의 선택이 꼭 틀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작년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2조 원으로 추정됐습니다.
|
작년 싱가포르에 IDC를 지었던 페이스북도 새만금 등에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일을 검토 중입니다.
한마디로 데이터센터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데이터센터가 국내에 여럿 만들어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국내 경제에는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혹시 우려되는 점은 없을까요.
특히 5G 교환국이나 기지국과 연결된 데이터센터(MEC·모바일에지컴퓨팅)는 스마트팩토리나 2020년 이후 도래할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로봇 같은 전송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서비스에 안성맞춤이죠. 이미 SK텔레콤과 KT는 MEC 서비스에 나섰습니다.
|
또 한가지는 AWS나 MS, 구글 같은 회사가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만들어도 결국 핵심(코어) 클라우드는 미국까지 갔다 온다는 점입니다.
이는 IT기업들의 자산이 글로벌 클라우드를 통해 모인 빅데이터에 있다는 의미와도 같습니다. 이런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것이죠.
글로벌 소프트웨어(SW)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 기업들로선 국내 기업이나 개인의 민감 데이터를 국내에서 저장·관리 받는데 대한 이점을 충분히 알릴 필요가 있어 보이는 대목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보안상 중요한 데이터는 국내 클라우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법안(주요 공공·개인정보 등에 대한 국내 클라우드 사용 의무화)이 발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이는 중국에서 생성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 국외 반출을 금지한 중국이나 테러·범죄 수사에 필요하다면, 외국에 저장된 미국 기업의 데이터를 들여다볼 수 있게 한 미국, EU시민 데이터를 타 지역에 반출하기 위해선 적정성 평가를 받아야 하는 유럽과 다르죠.
데이터센터 전성시대는 우리에게 미래 산업의 반도체 격인 ‘데이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