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인천의 한 초등학교 교사인 이수빈(가명·37)씨는 코로나 팬데믹 2년간 학생들의 학력 붕괴를 체감하고 있다. 최근 6학년 수학시간에 곱셈·나눗셈을 잘 못하는 학생이 팬데믹 이전보다 2배 정도 늘어서다. 그는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코로나 이전에는 한반에 5명 정도였다면 지금은 10명 정도로 늘었다”며 “처음 곱셈을 배우는 2학년부터 구구단을 제대로 훈련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니 5·6학년이 돼서도 힘들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0년 1월 국내에서 첫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2년 넘게 공교육이 파행을 겪으면서 일선 학교현장에선 ‘학력 붕괴’가 현실화됐다.
전문가들은 학력붕괴를 막기 위해선 정확한 학력진단이 선행돼야 한다며 저학력 학생들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통해 공교육을 내실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를 전수평가로 전환하고, 전 학년에서 중간·기말고사를 부활하는 등 객관적 학력진단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다.
“원격수업 장기화로 학력붕괴”
오는 5월 2일부터 모든 학교에서 정상등교가 이뤄지는 등 오랜만에 학교현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지만 교육계는 학력붕괴 현상에 고심하고 있다. 펜데믹 2년간 비대면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서 학습결손이 심화된 탓이다. 경기도의 한 중학교 양모(38)교사는 “원격수업이 진행될 때는 학생들이 수업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조차 힘들었다”며 “학교일상회복에 이어 이제는 교육회복이 절실한 때”라고 말했다.
교사·학생이 느끼는 학력붕괴 현상은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교육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 중학교 수학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13.4%로 전년(11.8%)보다 1.6%포인트 증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교 수학의 경우도 같은 기간 9%에서 13.5%로 4.5%포인트 상승했다. 기초학력 미달이란 교과 내용의 20%도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수학의 경우 사실상 ‘수포자’(수학 포기 학생)에 해당한다.
학생 간 학력격차도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소득수준에 따른 학력격차가 심각하다. 충북의 초등학교 4학년 학부모 임모(39)씨는 “맞벌이 부부라 자녀가 학교 끝나고 집에 와도 돌볼 수가 없다”며 “원격수업을 받는다며 태블릿PC로 게임을 해도 옆에서 말릴 수도 없는 상황이라 사실상 방치 상태”라고 토로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교사 최모(39)씨는 “소득수준이 높은 가정에선 원격수업 기간 중 자녀를 학원에 보내거나 과외를 시켰지만 그렇지 못한 가정은 사교육 받는 것조차 힘들었다”며 “특히 부모가 맞벌이를 하거나 조부모가 아이를 돌보는 경우 원격수업을 옆에서 지도해주지 못하니 성적이 더 저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21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 사교육 받는 학생 비율은 월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경우 86%, 200만원 미만은 46.6%로 1.8배 격차를 드러냈다.
“학력 진단해야 처방도 가능”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도 현행 표집평가를 전수평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원래는 초6·중3·고2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평가를 실시했지만, 2013년 초6이 제외됐고 현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부터 중3·고2 학생의 3%만 치르는 표집평가로 전환했다. 경기도의 한 중학교 성모(33)교사는 “서울 소재 대학은 학종보다 수능으로 선발하는 비중이 큰데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폐지한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교육학자들도 정확한 학력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초등학교 지필고사가 다 폐지됐기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연계·관리가 되지 않는다”라며 “중간·기말고사를 다시 살리고 학생개개인의 성적이 중·고등학교에서 공유돼야 해당 학생에 대한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홍후조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시험도 공부의 한 과정인데 학교에서 시험을 안보는 것은 문제”라며 “학업성취도평가를 전수평가로 되돌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1학년에서도 중간·기말고사를 부활, 학교장이 학생들의 학력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교도 취약계층이나 학력 부진학생을 소그룹으로 모아 교사들이 적극 교과보충을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필요하다면 인공지능(AI) 보조교사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저학력 학생들에 대한 집중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