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가에도 내수 소비의 기반이자 가계의 소비 여력을 보여주는 실질 처분가능소득은 2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처분가능소득은 경상소득(명목)에서 경상조세·사회비용·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빼서 산출한다. 여기에서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구한 것이 실질 처분가능소득이다. 실질 처분가능소득은 월급 등 소득 증가와 별개로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이 얼마나 되느냐를 보여주는 지표다.
처분가능소득이 감소한 것은 2019년 1분기(-1.2%) 이후 2년 만이다. 가구의 명목 소득이 늘고 비소비지출이 줄었음에도 쓸 여윳돈이 없는 것은 물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상의 전체 가계 소득을 따지는 경상소득(명목)은 정부 지원 덕에 늘었다. 1분기 경상소득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근로소득(-1.3%), 사업소득(-1.6%)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1년 전보다 0.4% 증가한 438만4000원을 기록했다. 3·4차 재난지원금 등의 영향으로 이전소득(16.5%)이 매우 증가한 영향이다.
반면 통계청과 한은에 따르면 올 1~2분기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한은의 물가목표치인 2%대를 웃도는 수준으로 급등했다.
지난 1월 0.6%에서 6월 2.4%까지 1.8%포인트가량 올랐다. 4월(2.3%)·5월(2.6%)에 이어 3개월 연속 2%대 상승하면서 2분기 물가는 2.5%를 기록해 지난 2012년 1분기(3%) 이후 9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2% 올라 3개월 연속 1%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가계의 여윳돈이 없어진 것은 명목소득 중에서도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이 줄어든 상황에서 보험료와 세금 등이 오르고 물가마저 빠르게 상승하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