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업계는 올해 공모주 시장이 지난해에 이어 빙하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기업의 실적 저하가 증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시에서 거시경제 악화로 실적이 우상향하는 실적주가 주목을 받는 것처럼 IPO 시장 역시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IPO업계에서는 벌써부터 올해 IPO 농사가 흉년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관측이 나온다. 연초 IPO 시장의 냉기를 녹일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컬리가 상장을 연기한 데 이어 현대삼호중공업이 상장을 포기하면서 공모주 투자심리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어서다.
상장사와 비상장사 가릴 것 없이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비상장사는 상장 요건을 갖추는 데 애를 먹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코스닥시장의 상장 자격을 얻으려면 △세전이익 기준으로 20억원 이상(벤처기업은 10억원 이상)이면서 기업가치 90억원 △세전이익 20억원(벤처 10억원)이면서 자기자본 30억원(벤처 15억원) △세전이익 있으면서 기업가치 200억원에 매출액 100억원(벤처 50억원) △세전이익 50억원 등 한국거래소가 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적자기업은 기술력이나 향후 실적 성장성을 인정받는 특례상장을 활용할 수 있다.
IPO 흥행 기업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공모주로 손실을 본 기관투자자들이 많은 탓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려는 분위기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 측이 기대하는 기업가치와 시장 평가간 괴리가 큰 기업이나 적자 기업으로 간주되는 특례상장 활용 회사를 기피하려는 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직상장 대신 공모절차 없이 증시에 입성하는 스팩합병 상장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공모주의 경우 수요예측을 통해 기업가치가 매겨지지만, 스팩합병 상장은 주주들간 합의를 통해 정해지기 때문에 비상장 기업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상장에 대한 부담이 덜하다”면서 “스팩소멸합병 도입으로 합병 대상 회사가 존속법인으로 남고 스팩이 소멸되는 제도적 이점도 있어 지난해보다 스팩합병 상장 기업수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