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오현주 선임기자] 어느 날 인간의 먹을 것을 관장하던 신이 좀 심심해졌다. 장난기가 발동한 그는 인간에게 매일 똑같이 던지던 빵 대신 돌을 던져보기로 했다. 툭툭 돌멩이를 떨어뜨리자 어라? 빵을 던질 땐 못 봤던 반응이 보인다. 기다리던 빵 대신 돌을 맞은 이들은 두 가지로 갈렸다. 신을 원망하며 돌을 걷어차다 발까지 다치는 유형이 하나. 주워 모은 돌멩이로 집 한번 지어보자고 나서는 유형이 다른 하나. 이쯤에서 수수께끼 한 토막이 나가줄 만하다. 평소에는 안 보이다가 위기상황에는 다 드러나는 것이 무엇? 답은 성격이다.
‘날아든 돌’부터 ‘자기방어’를 거쳐 ‘성격’에까지. 단순해 보이지만 사실 매우 정교한 이 상관관계는 정신신경면역학자인 저자에게서 나왔다. 성격이란 게 종국엔 인생의 질적 가치를 좌우하는 ‘절대반지’ 같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런데 한번 타고난 성격은 끝까지 간다고들 하지 않나. 성격은 머리로 제어할 수 없는 마음의 영역이라며. 과연 그런가. 저자는 조목조목 반론을 제기한다. 흔히 믿는 것처럼, 성격을 품은 마음이란 것조차 가슴에 있는 게 아니라 뇌에 있다는 거다. 희로애락이란 대분류 아래 뻗어나온 수많은 감정도 뇌의 신경세포에 든 ‘호르몬’의 지휘 아래 움직인다고. 그러니 성격이라 불리는 반응도 당연히 뇌가 관장하는 거고. 한마디로 이거다. “행복은 없다, 행복한 성격이 있을 뿐이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가르는 ‘성격’
“저 친구 성격이 이상해.” 자주 듣고 하는 얘기다. 그런데 도대체 어떤 성격이 이상한 성격인가. 건강심리학자들이 성격을 구분하는 주요 지표가 있다. 스트레스다. 풀어보면 인간은 성격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아들이는 형태가 다르다는 거다.
그렇다면 누구든 이 4개의 유형에 반드시 들어야 하나. 앞서 언급한 ‘자기방어’에 최적화한 성격이란 게 있기는 한가. 있다! 그런 게 있단다. 스트레스 호르몬의 균형을 이루는 성격, 바로 ‘E형’이다. 저자가 꾸준히 환자를 진료하고 사람을 관찰한 결과로 규명한 제5의 성격. 이들은 스트레스에 덜 민감하게 반응한다. ‘부정적 스트레스’(distress)를 만날 때마다 빠르게 ‘긍정적 스트레스’(eustress)로 전환하는 재주도 있다. 스트레스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문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균형이 깨질 때. 그런데 이들이 그걸 알더란 거다. 화를 내는 대신 생각을 바꾸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빠르게 균형을 되찾는다는 걸.
△성격대로 살지 말고 성격을 연습해야
저자에 따르면 성격은 타고난 것이 50%쯤 된다. 성장 과정에서 형성되는 게 10%, 나머지 40%는 상황에 따라 통제할 수 있다. 성격 개조의 시나리오가 완성되는 지점이 여기다. 그 40%의 절반이라도 E형으로 가려는 노력을 한다면 사람은 바뀔 수 있다는 거다. 몸과 마음 모두 쾌적하게 살다가 죽는, 삶의 궁극적 지향점까지.
그렇다면 어떻게 E형에 접근할 수 있나. 본질은 삶을 바라보는 태도에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전화위복이 빠르고 상대에 대한 배려·봉사로 엔도르핀을 생성할 줄 안다고 했다. 대화·소통에 능한 것도 특징이다. 살아가면서 만들고 접촉하며 계발되는 캐릭터다. 알아챘는가. E형은 의도적으로 힘을 들이고 연습해야 갖출 수 있는 성격인 것이다.
△장수비결? 버섯·브로콜리가 아니라 그냥 ‘성격’
성격에 대해선 참 할말이 많다. 누구에게나 과거의 총천연색 사건·사고와 뒤엉켜 있으니까. 덕분에 저자의 분석틀은 이해가 쉽다. 다만 내키지 않는 한 가지라면 규격화한 ‘유형별 분류’. A형이 됐든 E형이 됐든 유형이 뜨면 사람은 거기에 맞추려는 습성이 발동하니까. 한때 유행이던 아침형 인간, 저녁형 인간도 비슷한 형태가 아닌가.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면 되레 불안해지기도 했더랬다. 그런데 말이다. 사실 이런 분석처럼 재미있는 것도 또 없다. 상대를 평가하는 일이 쉬워지니까. 나만 그런 게 아니구나 하는 위안도 얻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인류의 질긴 열망이 아닌가. 책이 내놓은 해법은 선명하다. 암을 방지한다고, 혈압을 관리한다고 음식은 가리지만 더 중요한 걸 놓친 건 아니냐고. 이젠 성격을 바꾸란 거다, 최대한 E형에 근접하게. 장수의 비결은 버섯·브로콜리·굴이 아니라 그냥 성격인 거다.
밀레니엄 직전인 1999년 미래학자 제럴드 셀런트가 출간한 ‘트렌드 2000’이 저자의 주장에 힘을 보탠다. 셀런트는 21세기 미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도구상자를 열어봤더니 총, 돼지고기, 콩 통조림 따위는 없더라고 했었다. 대신 개척자정신과 올바른 생활방식, 균형잡힌 훈련과 책임의식 같은 게 들어있더라고.
“성격은 일생 만들어내는 삶의 결실”이란 게 저자의 주제의식이다. ‘성격 탓’에 인간성까지 매도당했던 개성 강한 인격들에게 얼마나 희망적인 발언인가. 다만 미심쩍은 건 어느 정도로 지난한 노력을 퍼부어야 A형을 E형으로 바꿀 수 있는지 말해주지 않았다는 것. 어렵겠지. 그게 어디 쉬운 일이겠나. 뾰족하게 이리저리 정신없이 튀어나온 모난 성격을 둥글게 다듬어내는 일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