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카이스트(KAIST)와 포스텍(POSTECH) 해킹 동아리들은 상대 학교의 전산망을 해킹했다. 국내에 인터넷 보급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을 당시,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있던 학생들이 실력 겨루기에 나선 것이다. 학생들은 구속됐지만 실형은 면했다. 일부는 IT업계에서 잘나가는 대표이사(CEO)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운동단체를 표방하는 글로벌 해커집단인 어나니머스(Anonymous)가 출현하고(2003년), 북한 소행의 대규모 해킹 공격이 확인되면서(7.7 디도스 공격, 2009년) 상황은 바뀌기 시작했다.
지난 3월에는 보안업체 대표가 10억 원을 받고 시중 은행을 공격한 사실이 밝혀졌으며,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30 여개국 90여 곳의 정보기관이 이탈리아의 스파이웨어 제작업체 해킹팀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2015년).
해킹이 사이버 검열·감시를 반대하는 인터넷 행동주의(Hacktivism), 관련 기술을 사고 파는 블랙마켓, 정보기관의 대테러정보전용 감청 수단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얼마전 인도 청년이 드론 해킹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는 등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 큰 문제”라면서 “모든 게 네트워킹화되는 미래에는 해킹은 새로운 권력이다. 서둘러 해킹 기술을 가진 인재를 키워서 KISA 등 국가기관에 취업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해킹 정보전쟁]②사이버戰 대비냐, 民 과잉사찰이냐
☞ [해킹 정보전쟁]③10년간 단 1건 검거...10건은 미궁에 빠져
☞ [해킹 정보전쟁]④"보안 취약 사이트 접속 말아야"
☞ 국민해킹 우려에 맞서는 “국민 백신 프로젝트” 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