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이데일리가 오는 5일로 예정된 ‘9월 소비자물가’ 발표에 앞서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1년 전 대비 5.7%(중간값)로 전망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6.3%(전년동월대비)로 고점을 찍은 뒤 8월 5.7%로 축소됐다. 8월에 이어 9월에도 5%대 물가가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다. 두바이유 등 국제유가가 이달 들어 80달러대로 추가 하락했지만, 태풍·폭염 등 자연재해와 추석 명절 요인이 더해지며 8월과 비슷한 물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분석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추석 명절 효과가 존재하고 공산품 및 식료품 가격 인상, 농산물 가격 상승, 서비스물가 상승이 이어졌을 것”이라면서 “국제유가 하락은 원화 약세와 상쇄되며 수입물가 부담도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기요금, 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도 문제다. 10월부터는 가정용 전기요금은 약 5%, 도시가스 요금은 약 16% 오른다. 정부는 이번 공공요금 인상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3%포인트 더 키울 것으로 봤다. 전기요금 인상이 0.1%포인트, 가스요금 인상이 0.2%포인트 가량 물가를 더 밀어 올릴 것이란 추산이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식료품 가격 상승, 태풍 및 홍수 등 자연재해와 환율까지 단기간 물가 상승 압력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
연간 물가상승률은 올해 5.2%, 내년 3.5% 수준으로 전망됐다. 한은이 지난 8월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예상한 연간 물가 수준(올해 5.2%, 내년 3.7%)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과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물가 상방 압력 요인이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더 커졌다. 환율이 1500원선을 뚫거나, 겨울철 들어 우려했던 유럽발(發) 에너지 대란이 일어난다면 7월(6.3%) 이상의 고물가가 재현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한편, 정부와 한은은 시장 예상과 달리 물가 정점 시기를 10월께로 예상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 당시엔 유가 하락에 물가 정점이 7월께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고 발언했지만, 최근엔 10월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이 총재는 지난달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현재로는 물가 정점을 10월로 보고 있는데 유가가 빨리 떨어진 반면 환율이 절하됨으로써 그 효과가 상쇄돼서 변동성이 크다”면서 “그 이후에도 물가가 내려오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