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랩어카운트 총 잔고(평가금액)는 144조938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말 116조7967억원, 2020년 말 132조5280억원 등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2020년 한해 15조원 이상 늘어났다면 올해 상반기에만 11조5000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투자자 수도 2019년 말 170만6816명, 지난해 말 175만9801명에서 6월 말 183만3390명으로 1년 사이 7만명 넘게 증가했다.
일임형 랩 어카운트는 고객과 증권사가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하고 고객의 자산을 전문가들이 관리하는 일임자산관리 서비스다. ‘싸다’라는 뜻의 랩(wrap)과 계좌를 뜻하는 어카운트(account)가 결합된 단어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로 ‘싸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자산관리계좌다. 전문가가 자산 구성부터 운용, 자문, 사후관리까지 총괄적으로 관리해 고액 자산가들의 전용 상품으로 여겨졌다.
2010년 전성기를 맞았던 랩 어카운트는 주식형 특정 상품의 수익률 부진으로 일부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본 후 외면 받았지만 근래 부활하는 모양새다. 과거엔 증권사 또는 자문사가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제안하면 고객이 선택하거나 고객 스스로 운용하는 자문형 랩이 주를 이뤘다면 요즘에는 투자자가 투자에 관한 결정 권한의 일부 또는 그 전부를 투자자문사나 증권사에 일임하여 운용하는 일임형이 떠오르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등으로 위축된 개인 투자자 사모펀드 시장의 반사이익도 작용했다. 2019년 6월 27조원대에 달했던 개인 투자자 사모펀드 판매잔고는 라임·옵티머스 사건사고를 겪으면서 17조~18조원대로 10조원 가까이 쪼그라들었다. 한동안 은행 창구에서도 쉽게 가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었지만 가입 자체가 어려워진 영향이다. 개인 투자자의 비중도 2019년 7%대였지만, 7월말 현대 3.87%로 반토막났다.
증권사들도 적극적으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글로벌 우주항공부터 메타버스까지 다양한 테마 랩어카운트 상품을 시장에 내놨다. 미래에셋증권의 ‘글로벌X ETF 랩’, 삼성증권 ‘M-파인’, KB증권 ‘KB 에이블 어카운트’, NH투자증권 ‘NH크리에이터 어카운트 랩’ 등을 선보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PB는 “사모펀드 규제 강화 등으로 랩 어카운트가 선호되고 있으나 결국은 투자 수단”이라면서 “비히클(투자수단)은 언제든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선 기초자산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