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피톤치드 한숨, 장흥삼합 한입…잘 쉬었다 갑니다

폭염 피해 떠난 전남 장흥 여행
피톤치드 가득한 치유의 숲 '억불산'
한승원, 이청준 등 문학의 고장
장흥삼합 여름보양식으로 몸도 힐링
  • 등록 2018-07-20 오전 12:00:00

    수정 2018-07-20 오전 12:00:00

억불산 정상에서는 장흥 시내와 덕량만 일대, 그 사이로 흐르는 탐진강까지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전남 장흥= 글·사진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기록적인 폭염이 연일 기승이다.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쉬게 할 ‘힐링’ 여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짙푸른 숲과 시원한 바다가 있는 전라남도 장흥은 남녀 누구에게나 편안한 쉼터를 제공하는 자연 휴양지다.

숲은 힐링의 공간이다. 세속에 찌든 때를 정화해주는 자연 청정기다. 일상에 지친 심신을 치유하는 데 숲만 한 곳도 없다. 그 숲이 편백숲이라면 더할 나위 없다. 몸에 좋은 피톤치드가 시원한 소나기처럼 쏟아져서다. 여기에 청정한 들판과 풍요한 바다, 그리고 산의 정기까지 듬뿍 담긴 먹거리까지 가득하다. 염천(炎天)에 숲 그늘 더욱 그리운 이즈음, 초록 세상 장흥에서 제대로 피서(避暑)하자.

억불산 정상까지는 나무데크로 길이 놓여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정상까지 걸어갈 수 있다.


◇치유의 숲에서 찌든 세파를 씻다

억불산 편백숲


억불산(518m)은 장흡읍에서 동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산 이름은 산에 부처를 닮은 기암괴석들이 무수히 많은 데서 비롯했다는 설과 산 중턱의 며느리바위 전설에서 나온 ‘억부’(지아비를 기억한다는 뜻)산이 변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능선이 길고 부드럽다. 마치 고운 여인이 치맛자락을 늘어뜨리고 있는 것과 같다. 봉수대가 있던 정상부에 기암괴석이 알맞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탐진강과 함께 장흥을 상징하는 대명사였다.

지금 억불산의 보배는 빽빽한 편백·삼나무 숲이다. 故 손석연(1918~1997) 씨가 1958년부터 심기 시작해, 무려 47만 그루의 편백·삼나무를 심고 가꾸었다. 그의 노력 덕분에 120㏊의 헐벗었던 산자락은 울창한 숲이 되었다. 이 숲이 ‘정남진 편백숲 우드랜드’다. 지금은 한국을 대표하는 편백숲으로 유명해졌고, 수많은 사람이 피톤치드의 향에 취하고자 이 먼 곳까지 수고로운 발품을 마다하지 않는다.

억불산 중턱의 며느리 바위


숲은 서로 견주듯 하늘로 쭉쭉 뻗은 편백들이 울창하다. 그 사이로 오솔길이 그림처럼 뻗어있다. 편백 톱밥을 깔아놓은 숲길은 푹신푹신하다. 애써 무언가를 할 필요가 없다. 그저 숲길을 앉아 쉬거나 삼림욕을 그만이다. 산림욕장 위로는 억불산 정상까지 길이 이어져 있다. 말레길이다. 3736m의 나무데크길이다. 말레는 대청 또는 마루를 일컫는 전라도 사투리인 ‘말레’에서 비롯했다. 이 길을 걷는 가족들에게 이해와 소통의 장(場)이 되라는 뜻을 담았다. 그만큼 경사가 완만하고 계단이 없어 장애인도 휠체어를 타고 등반할 수 있다. 덕분에 남녀노소 부담 없이 피톤치드에 젖어 산책할 수 있다.

억불산 중턱의 거대한 솟대바위 ‘며느리바위’를 지나면 산 중턱의 전망대다. 장흥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여기서 30분 정도 더 오르면 정상이다. 남쪽 멀리 천관산, 서북쪽에 월출산, 북쪽에 탐진강이 장흥읍을 관통해 흐른다. 북동쪽으로는 사자산과 제암산이 나란히 붙어 있다. 발아래 능선에는 정남진 천문과학관도 보인다.

한승원 문학산책로


◇ 문학의 고장 ‘장흥’

장흥은 많은 문학가를 키운 고장이다. ‘아제아제 바라아제’를 쓴 한승원도 이곳에서 나고 성장했으며, ‘축제’와 ‘서편제’ 등 역시나 남도의 정서가 뚝뚝 흘러내리는 작품으로 잘 알려진 故 이청준 선생의 고향이기도 한다. 장흥이 자랑하는 문학인의 면면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아동문학가 김녹촌과 소설가 송기숙·이승우·이대흠·김영남 등을 비롯한 많은 문학가가 이곳에서 나고 자랐다. 등단한 작가만 무려 100명이 넘는다.

장흥 문학 여정은 이들 문학가의 흔적과 그들의 작품이 남아 있는 곳들을 따라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회진면 일대다. 신상리는 한승원이 태어나고 자란 마을로, 슬레이트 지붕을 소박하게 얹은 생가가 어촌 마을의 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 1939년 이곳에서 태어난 한승원에게 신상리 마을과 그 바다는 문학의 뿌리 그 자체였다.

한승원길


진목마을은 이청준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1960년대 중반 문단에 나와 40여 년 동안 우리 소설계를 이끈 선생은 지난 2008년 세상을 떠났다. 중편소설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에 “큰 산꼭대기 구룡봉에서 바라본 세상은 끝없이 넓었다. 작은 동산 같은 그의 마을 뒷산 너머로 남해의 푸른 바다가 아득히 하늘로 이어져가고 북으로는 수많은 산이 뿌연 연무 속으로 겹겹이 멀어져가고 있었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진목마을은 이 묘사 그대로다. 마을 앞쪽 동산 같은 산 너머에는 회진 앞바다가 펼쳐지고, 마을 뒤쪽으로 천관산이 버티고 섰다.

진목마을에서 빠져나와 서쪽 포구로 가서 이르는 선학동은 이청준의 연작 중 하나인 ‘선학동 나그네’의 배경이다. 또 이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한 거장 임권택 감독의 100번째 영화의 실제 촬영 무대다. 포구 가까이 가면 촬영 당시 사용했던 주막 세트가 남아 있다. 벌써 세월이 꽤 흐르다 보니 낡고 쇠락했지만, 몽환적인 듯하면서도 투박한 질감이 살아나는 양철 지붕의 건물은 여전히 인상적이다.

장흥의 대표적인 보양식 중 하나인 ‘장흥삼합’


◇ 육지와 바다를 품은 ‘장흥의 여름 보양식’

된장국물에 육질이 부드러운 횟감을 섞어 만든 된장물회


장흥을 찾은 또다른 이유는 바로 ‘먹거리’ 때문이다. 드넓은 득량만에서 쏟아져 나오는 갯것과 청정한 들판, 그리고 산의 정기가 듬뿍 담긴 먹거리가 넘쳐난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은 ‘장흥삼합’이다. 비옥한 갯벌에서 자란 키조개 관자와 참나무에서 자란 표고버섯, 그리고 한우가 어우러진 으뜸 보양식이다. 키조개 관자의 부드러움과 표고버섯의 쫄깃함, 한우의 감칠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따로 먹을 때 보다 더 깊은 맛을 낸다. 이 맛 제대로 맛보려면 정남진 토요시장으로 가야 한다. 대부분 소고기를 따로 구매해서, 음식점에서 삼합 세팅비를 지급하고 먹는다. 신선한 재료다 보니 너무 익히지 않게 구워서 쌈장이나 양념 채소에 곁들여 먹으면 강하지 않으면서도 넉넉한 풍미가 가득 느껴진다.

된장물회은 장흥뿐 아니라 남도를 대표하는 여름철 보양식이다. 전통적으로 담근 된장국물에 육질이 부드러운 횟감을 섞어 만든다. 청양고추의 칼칼한 맛과 된장의 구수한 맛이 잘 어울리고, 숙취 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시원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보통 농어새끼, 돔, 뱅장어 등 싱싱한 생선을 가리지 않고 넣어 먹지만, 식당에서는 대부분 어린 농어를 재료로 쓴다.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인 ‘바지락회무침’


더위에 입맛도 달아났다면 바지락회무침이 제격이다.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인 바리락회무침은 씨알이 굵은 바지락에 미나리·표고버섯·양파·고추장·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린다. 매콤한 맛이 식욕을 돋우고,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해 건강요리로 인기다. 참기름과 김가루가 담긴 그릇에 밥과 회무침을 넣고 비비면 밥 한 공기는 그냥 ‘뚝딱’이다.

바다의 보양식 중 으뜸은 바로 갯장어다. 장흥의 남쪽 안양면 여다지해변은 갯장어가 많이 잡히는 곳 중 하나다. 장흥에서는 이 갯장어를 주로 샤부샤부로 요리해 먹는다. 보통 ‘하모샤부샤부’라고 한다. 하모는 갯장어를 뜻하는 일본어 ‘하무’에서 유래했다. 대추와 당귀, 엄나무를 넣고 육수는 삼계탕 육수보다 진하다. 여기에 표고버섯, 부추 등 채소를 넣고 갯장어를 살짝 데쳐 간장이나 초장에 찍어 먹으면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입안에 오래 머문다.

갯장어샤부샤부


◇여행메모

△가는길= 호남고속도로 타고 가다 장흥IC에서 나와 29번 국도로 가거나,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목포~광양 간 고속도로로 갈아타고 장흥IC에서 빠져나가야 한다. KTX나 SRT를 이용한다면 광주나 나주에서 시외버스로 갈아타고 장흥까지 가야 한다.

△볼거리=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릴 짜릿한 정남진장흥물축제가 27일부터 8월 2일까지 7일간 탐진강 수변공원과 편백숲 우드랜드 일원에서 열린다. 거리퍼레이드 ‘살수대첩’은 28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진행하고, 27일부터 매일 오전과 오후에는 한 시간씩 탐진강변에서 지상 최대의 물싸움이 펼쳐진다. 장흥의 고유 민속 문화인 고쌈줄다리기도 수중에서 열린다. 28일부터 8월 2일까지 매일 오후 3시에는 맨손물고기 잡기가 열린다. 최대 2000여 명이 동시 입장해 맨손으로 물고기를 잡는 게임이다. 여기에 뗏목·수상자전거·카누/카약·바나나보트 등 탐진강을 둥실 떠다니며 여름을 즐길 갖가지 탈 거리도 즐비하다.

억불산 중턱에는 전망대와 나무벤치가 있어 산행객들이 쉬어갈 수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바이든, 아기를 '왕~'
  • 벤틀리의 귀환
  • 방부제 미모
  • '열애' 인정 후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